<p></p><br /><br />윤창호법. 음주운전 처벌을 대폭 강화한 법 시행이 이뤄진 지 2년이 됐습니다. <br><br>잠시 음주운전 사고가 줄었나 싶었지만 올들어 다시 늘고 있습니다. <br><br>‘술버릇이 운전’인 상습음주운전자들이 줄지 않아서인데. 결국 처벌만으로 음주운전을 뿌리뽑기 힘들단 얘기겠죠. <br><br>박정서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밤길을 달리던 자동차가 속도를 줄이지 않고 앞차를 쾅 들이받습니다. <br> <br>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있는데도 멈추지 않고 오토바이 운전자를 들이받은 뒤에도 골목길을 그대로 빠져나갑니다. <br> <br>재작년 12월 음주운전 사망 사고 시 최대 무기징역까지 받게 한 '윤창호법'시행 이후 발생한 음주 교통사고들입니다. <br><br>처벌이 강해지면서 지난해 잠시 주춤했던 음주운전 교통사고는 올 들어 다시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전체 운전면허 취소자 중 음주운전자 비중도 지난해 떨어졌다 다시 높아졌습니다.<br> <br>문제는 습관적으로 술을 마신 뒤 운전대를 잡는 운전자들입니다. <br><br>음주운전으로 면허가 취소된 운전자가 5년 내 다시 적발되는 비율은 새로 면허를 딴 운전자보다 3배나 높았습니다.<br><br>2번 이상 음주운전을 한 고위험군에 대해 최소 3개월 이상 엄격히 관리하는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최대 16시간 교육만 받으면 운전면허를 재취득할 수 있는 느슨한 구조입니다. <br> <br>[임채홍 /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] <br>"음주운전이라는 것이 중독성이 강하기 때문에. 단기적인 교육 한 두번으로 해결하려고 하면(안 되고) 의사의 심리치료가 동반된 교육프로그램을 필수로 받아야…" <br> <br>최근 유럽과 미국 등에서는 차안에 시동장치와 음주측정장치를 연결해 운전자가 술에 취하면 시동이 걸리지 않는 '시동잠금장치'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음주운전으로 숨진 사람만 295명. <br> <br>처벌이 강화됐다고 끝낼 게 아니라 계속해서 보완해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편집: 정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