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확산이 계속되면서 백신을 확보하려는 각국의 경쟁도 치열합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는 국제 공동구매를, 미국과 중국 등은 독자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데요, 몇몇 나라가 백신을 독점하는 이른바 '백신 민족주의'는 코로나 종식을 오히려 늦출 거라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도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세계보건기구, WHO는 코로나19 종식까지 2년은 더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종식을 앞당기려면 백신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세계 각국은 백신 확보 경쟁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와 유럽, 일본 등은 국제 연대체인 '코백스 퍼실리티'를 통한 백신 공동구매를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백신 개발비를 미리 내고 성공하면 물량을 배분받는 방식인데, 지금까지 60여 개국이 참여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미국, 중국, 러시아, 인도 등은 공동구매가 아닌 독자 개발을 선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자국 먼저 백신을 확보해야 한다는 이른바 '백신 민족주의'는 코로나19 종식을 오히려 늦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각국이 긴밀하게 연결된 오늘날, 한 나라라도 코로나19가 남아있으면 금세 전 세계로 퍼지는 건 시간문제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WHO는 개발도상국 백신 지원을 위한 기금도 별도로 모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를 포함한 14개국은 백신의 공평한 배분을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지난 22일) : 국제모금 등을 통해 국제기구가 충분한 양의 백신을 선구매하여, 빈곤국과 개도국도 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지원 대상 개발도상국은 북한을 포함해 92개국. <br /> <br />공동구매 참여국과 합하면 전 세계 국가의 80% 정도가 해당됩니다. <br /> <br />다만 백신이 성공적으로 개발될 것인지는 불확실하고, 계획대로 돼도 내년 말에나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또, 공동구매를 통한 공급량은 우선 각국 인구의 20%까지이기 때문에, 나머지 물량을 확보하기 위한 각국의 경쟁은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도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92722203147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