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군 "소청도 인근서 구명조끼 추정 물체 발견...북, 자체 수색하는 듯" / YTN

2020-09-28 2 Dailymotion

군 "소청도 인근 해상에서 구명조끼 추정 물체 발견" <br />"해경에도 통보…피격 공무원 것인지는 수거 후 확인 필요" <br />북한, 우리 측 공동조사 요청에 아직 무응답 <br />국방부, 첩보 일부 공개하며 ’6시간 무대응’ 논란 해명<br /><br /> <br />"새로운 긴장을 유발할 수 있는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 무단침범 행위를 즉시 중단할 것을 요구한다." <br /> <br />북측이 어제(27일)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대남 경고메시지를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군 총격으로 우리 공무원이 숨진 사건에 대해 사과한 지 불과 이틀 만입니다. <br /> <br />북측 주장의 핵심은 남측이 숨진 공무원의 시신을 수색하는 과정에서 자신들의 영해를 침범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꺼내든 게 이른바 '서해 해상 군사분계선'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7년 이후 북측이 주장해온 '서해 경비계선'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남북한 사이의 실질적인 해상경계선 역할을 하는 서해 북방한계선, NLL보다 남쪽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선 북측이 지난 1999년 선포한 '조선 서해 해상 군사분계선'일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평도와 백령도 등 서해 5도가 북한 영해에 포함되는 일방적인 경계선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당국의 수색 작업이 서해 북방한계선 이남에서 이뤄지는 만큼 둘 중 어느 선을 의미하든, 북측은 NLL을 부정하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서해 해상 경계선 문제는 남북 사이의 해묵은 쟁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에서 남북 간 육상경계선만 확정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의 서해 NLL은 그 이후인 1953년 8월 30일 유엔군사령관이 해상초계 활동 범위를 한정하기 위해 설정한 겁니다. <br /> <br />남측은 이를 준수하고 있지만, 북측은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2년 전 9·19 남북 군사합의서에 담긴 서해 NLL 일대의 평화수역화도, 구체적인 방안은 아직 합의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공무원 사살 사건을 사과한 북측이, 다시 서해 해상 경계선 문제를 꺼내든 의도가 무엇인지 면밀한 분석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그럼 취재기자 연결해, 관련 내용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군에 피격된 우리 공무원을 찾기 위해 수색 작전을 벌이고 있는 군경 합동수색팀이 해상에서 구명조끼로 추정되는 물체를 발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북측은 우리 정부의 공동조사 요청에 아직 응답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. 임성호 기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92813504988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