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와대 "대통령의 시간, 위기관리 위한 고심의 시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청와대는 실종 공무원 피살 사건과 관련해 야권의 늑장 대응 주장에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'대통령의 시간'은 너무 일러서도 안 되며, 너무 늦어서도 안 되는, 단 한번의 단호한 결정을 위한 고심의 시간이라고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성승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서해 실종 공무원 피격 보고를 받은 후 문재인 대통령의 행적을 밝혀야 한다'고 요구하는 야권.<br /><br />청와대는 "단호한 결정을 위한 고심의 시간이자 한반도 위기관리를 위한 시간이었다"며 정보 확인에 시간이 걸렸다고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군이 입수한 토막토막의 '첩보'만으론 상황을 확실하게 확인하기 어려웠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"한반도를 대결구도로 되돌아가게 할 수 있는 안보상황에서 대통령의 고심은 '위기관리'일 수밖에 없다"며 이같이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어 "대통령에 따르면 사안이 너무 중차대했고, 거듭거듭 신뢰성이 있는지 확인이 필요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강 대변인은 "군은 북한 해역에서 불꽃이 감시장비에 관측된 것 외에는 아무것도 확인할 수 없었다"고 '토막 첩보'만 존재했음을 거듭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일부 국내 언론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외신들과 달리 국내 언론은 "북한의 사과통지문을 정부가 긍정평가 한 것을 깎아내리는 보도가 다수 있었다"고 꼬집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지난 정부 때 벌어진 2015년 목함지뢰 사건 당시 보수 매체의 기사 제목도 나열하며 논조가 너무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강 대변인은 "언론 탓을 하려는 것이 아니고 대결 구도로 되돌아가야 한다는 것 같은 주장이 고개를 들어 우려스러운 것"이라고 부연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성승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