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대선의 풍향계가 될 첫 TV토론이 90분의 접전 끝에 막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와 바이든, 두 후보는 코로나19와 인종 갈등 문제 등 국내 현안을 두고 치열하게 격돌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조수현 기자와 함께 자세한 내용 살펴봅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미 대선후보들의 1차 TV토론에 많은 관심이 집중됐는데, 전체적인 분위기 어땠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말 치열한 설전이 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만,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 2016년 대선 당시 트럼프-클린턴 후보 간의 1차 토론을 제가 어제 다시 한 번 보고 왔는데요. <br /> <br />당시 초반에는 두 후보 모두, 절제된 태도를 보이다가 서서히 더 치열하게 격돌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오늘은, 초반부터 팽팽한 긴장감이 속에 두 후보가 서로 끼어들고 말을 끊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초반 몇 분간은 점잖게 진행되는 듯하다가 사회자의 제지에도 말을 이어가는 등 혼란스러운 상황이 펼쳐졌습니다. <br /> <br />사회자인 폭스뉴스 크리스 월러스 앵커가 여러 차례 중재에 나서야 했는데, 3명의 목소리가 동시에 겹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90분 동안 뜨거운 설전이 이어졌는데, 이번 토론의 핵심 쟁점들도 살펴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다양한 국내 현안들이 다뤄졌는데요. <br /> <br />코로나19와 경제, 인종 갈등과 폭력, 신임 연방대법관 임명 문제가 핵심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첫 번째 주제는 긴즈버그 연방대법관의 별세로 대선판의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후임 지명 문제였는데요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2016년 대선에서 승리했으므로 후임 연방대법관을 곧바로 지명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바이든 후보는 이 사안에 미국민이 목소리를 낼 권리가 있다며, 그러려면 대선 결과가 어떻게 나오는지 기다려보고 승자가 후임을 지명해야 한다고 맞섰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와 경제에 관해서는 바이든 후보가 트럼프 행정부의 대응을 문제 삼으면서 코로나19 확산 책임론을 꺼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에서 20만 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한 점, 안일한 초기 대응으로 피해를 키운 점을 지적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코로나19에 성공적으로 대처했다고 반박하면서, 충분한 보호장비 보급 등을 내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중국과 러시아, 인도 등의 코로나 피해 사례를 거론하면서 미국의 대응에는 문제가 없음을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두 후보의 화법과 토론 스타일도 극과 극인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93012121928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