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국방부 “사살 용어 없었다”…정보당국 “다른 표현 썼다”

2020-09-30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'우리 군의 당시 감청 내용에, 북한의 사살 지시가 있었느냐' <br> <br>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이 논란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습니다. <br> <br>당시 북한이 사살 지시 내린 걸 들었었다면, 이후에 별 조치를 취하지 않은 우리 정부의 책임론이 더 커지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청와대와 국방부는 감청 내용에 사살이란 용어는 없었다며 강하게 부인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사실상 '사살'을 의미하는 표현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강지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국방부가 추석 연휴 첫날인 오늘 언론 보도 반박 브리핑을 했습니다. <br> <br>서해 공무원이 북한군에 피격됐을 당시 '사살한다'는 내용을 우리 군이 감청하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는 보도에 대해서입니다. <br> <br>[이두희 / 국방부 정책실장 대리] <br>"우리 군이 획득한 첩보 사항에 '사살, 사격' 등의 용어는 없습니다." <br> <br>국방부는 관련 질문은 받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'사살', '사격'이라는 직접적인 단어가 없더라도 사살 정황은 파악할 수 있었던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옵니다. <br><br>정보당국 관계자는 "북한군이 '사살'이라는 단어는 아니었지만 뜻이 같은 다른 표현을 썼다"고 밝혔습니다. <br><br>국방부 등으로부터 보고 받은 국회 정보위·국방위원들은 "북한군의 지시가 불분명해 '죽이라는 거냐, 살리라는 거냐'는 대화도 오갔다고 들었다"고 전했습니다. <br> <br>[민홍철 / 국회 국방위원장 (어제, TBS라디오)] <br>"(북한군이) '어떻게 처리할까요?' 이런 상부에 보고하는 과정 속에서 갑자기 '사격을 해라.' 그래서 고속단정이 왔다는 거죠." <br> <br>청와대와 국방부는 실시간으로 정보를 파악한 게 아니었다며 구출 등 대응이 늦었다는 주장에도 반박했습니다. <br><br>국방부는 "총격했을 정황, 불태운 정황들은 단편적인 여러 조각 첩보들을 종합 분석해 얻은 결과"라며 "상당히 시간이 경과된 후에 재구성한 내용"이라고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.<br> <br>청와대도 "마치 군이 CCTV로 들여다보듯 실시간 파악을 하고 있었는데도 정부가 대응하지 않은 것처럼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"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