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사실 여부 파악 과정서 첩보 노출…섣부른 공개 논란

2020-09-30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감청 내용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되자, 정부 여당은 난감해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첩보 경로와 자산이 노출되면서, 북한 감시에 차질이 빚어진다는 겁니다. <br> <br>정말 그럴까요? <br><br>강은아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남북이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을 두고 엇갈린 주장을 하면서, 사실 여부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우리 군의 첩보 내용이 노출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북 감청 내용이라며 문장까지 세세하게 공개되자, 정부여당에서는 우리의 첩보 수집 방식이 북한에 노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[이두희/ 국방부 정책실장 대리] <br>"군의 민감한 첩보 사항들을 임의로 가공하거나 무분별하게 공개하는 것은 우리 군의 임무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안보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." <br><br>국방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은 "첩보를 입수하는 경로나 자산이 다 노출되면 우리 군이 재구축 노력을 해야 한다"며 <br>"몇 년은 걸린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일반적으로 군 작전을 수행할 때는 보고가 암호로 이루어지지만 이번처럼 수색 작전을 펼칠 때는 암호가 아닌 평문, 즉 평상시 사용하는 언어를 씁니다. <br><br>실제 정보당국 관계자는 "이번 감청 내용은 모두 암호가 아닌, 평문으로 이뤄졌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이런 경우 보통 북한이 감청을 막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대책은 보고가 이뤄지는 주파수를 바꾸는 건데, 하루 이틀이면 다시 파악할 수 있단 게 전문가의 설명입니다. <br> <br>[한철용 / 전 국군 대북감청 부대장] <br>"작전 상황이 아니고 수색 구조 활동을 평문으로 날린 것이기 때문에 이것이 보안 유지도 아니고, 우리가 발표했다고 해서 저들이 크게 역대책 세울 것이 없어요." <br><br>하지만 무분별하게 첩보 내용이 공개될 경우, 자칫 인적 네트워크 등을 통해 수집한 정보가 포함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일각에서는 국방부가 관련 첩보를 너무 성급하게 공개하면서 논란이 커졌다는 비판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은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윤재영 <br>영상편집 이희정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