과거 민주자유당 등 전통 보수 상징 ’푸른색’ <br />지난 2012년 새누리당 당색 ’빨강’으로 변경 <br />국민의힘, 빨강·파랑·흰색 3가지 당색 채택<br /><br /> <br />변화를 기치로 든 국민의힘 결국 당 색깔을 빨강, 파랑, 흰색 이렇게 3색으로 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수 정당은 광복 이후 한나라당에 이르기까지 파랑을 고수해 오다, 새누리당 때 빨강으로 바꿨습니다. <br /> <br />이 모든 색을 다 담은 3색 국민의힘은 어떤 길을 걷게 될까요. <br /> <br />염혜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당색은 그 정당의 가치를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이름만큼이나 상징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지금은 낯설게 느껴지지만 보수진영은 오랫동안 푸른색을 당색으로 삼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민주자유당 전당대회는 흡사 지금의 더불어민주당처럼 온통 청색으로 뒤덮였고, <br /> <br />이후 문민정부의 신한국당를 거쳐 한나라당까지 파랑은 보수의 상징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공식은 2012년, 새누리당이 깼습니다. <br /> <br />[조동원 / 당시 새누리당 홍보기획본부장 (2012년 2월) : 흰색은 백의민족을 상징하는 거고 빨간색은 잘 아시겠지만 열정을 상징하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른바 '레드 콤플렉스' 넘어 빨강을 선택하면서, 당시에도 당내 반발이 만만치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이경재 / 당시 한나라당 의원 (지난 2012년 2월) : (의원총회에서) 색깔론을 이야기하는 건 아닌데, 혹시 정책의 좌클릭과 연관해서 보수 쪽에서 시비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(의견이 있었습니다.)] <br /> <br />우려와 달리 당명과 당색을 바꾼 뒤 새누리당은 총선과 대선에서 잇따라 승리하며 정국 주도권을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박근혜 정권 말기 국정농단 사건 이후 보수 정당이 혼란을 겪는 사이 빨강은 태극기 부대로 대변되는 극우 진영으로까지 외연을 확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21대 총선을 앞두고 미래통합당은 밀레니얼 핑크라는 한층 젊어진 색깔을 선보였지만 결과적으로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파랑과 빨강은 거쳐 핑크로 갔던 보수는 이번엔 한 가지 색에 가치를 담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김종인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: 일반 국민의 의식구조가 상당히 다양합니다. 일반 국민의 다양성을 갖다가 보여주기 위해서 색깔을 3가지로 쓴 거지….] <br /> <br />여러 색이 섞인 만큼 좌클릭도 우클릭도 아닌 탈이념이라는 이야기지만, 한편으론 과거 보수가 선택해 온 색깔들의 총집합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쇄신인가, 답습인가. <br /> <br />새로 바꾼 당색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00222274450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