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 장기화에 깊어지는 우울증…운동·식생활 중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가 9개월째 이어지면서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바깥 활동이 줄고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다 보니 스트레스가 해소되지 않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이진우 기자가 코로나19 시대 우울증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추석 연휴를 앞뒀지만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평소보다 한산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감염 우려에 고향에 가지 않고 집에서 보내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바깥 활동을 줄이고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몸과 마음 모두 지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<br /><br /> "집에서 누워서 스마트폰 보고 유튜브를 많이 봅니다. 계속 집에서만 생활하다 보니까 살도 좀 찌는 것 같고 건강에도 안 좋은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문제는 이런 생활이 지속되면 심각한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실제 올해 상반기 우울증 진료 인원은 59만5,724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.8% 늘었습니다.<br /><br />고의적 자해로 병원 진료를 받은 건수는 1,076건, 지난해 상반기(792건)보다 35.9%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우울증이 지속되면 일상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악화할 수 있고, 정신건강뿐 아니라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 렙틴의 분비량이 줄어 비만으로 이어져 건강을 해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규칙적인 식생활과 함께 집안에서도 스트레칭이나 유산소 운동을 하면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 "불규칙적으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고 생활 리듬 깨지고 이러면 문제가 생기거든요. 집에서 지내더라도 규칙적인 생활, 집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거든요."<br /><br />또 비대면 방식을 활용해 친구나 동료, 가족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불안감을 해소하고, 그래도 우울감이 지속될 경우엔 반드시 정신과 전문의를 찾아 심리 상담을 받을 것을 강조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. (jinu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