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중동 화해무드 조성되나…이스라엘, 평화협정 다음 상대는

2020-10-04 0 Dailymotion

중동 화해무드 조성되나…이스라엘, 평화협정 다음 상대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랍에미리트 UAE, 바레인 등 이슬람권 국가들과 평화 협정을 맺은 이스라엘의 다음 행보에 국제사회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이스라엘은 추가 평화 협정을 예고했는데요.<br /><br />걸프지역과 아프리카에 있는 몇몇 나라가 거론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영만 기자 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스라엘과 아랍에미리트 UAE, 바레인과의 평화 협정을 계기로 중동에 평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 이스라엘은 앞으로 이스라엘이 아랍권 국가들과 추가로 평화 협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지금 중동의 많은 나라들이 이스라엘과 이 협정(평화 협정)을 맺길 원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론 더머 미국 주재 이스라엘 대사는 내년 1월까지 최소 2개국과 평화 협정을 맺을 것으로 예상했다고 이스라엘의 한 언론이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이 추가로 평화 협정을 맺을 가능성이 높은 이슬람 국가로는 오만과 모로코, 수단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걸프지역 국가인 오만은 중립 외교를 펼치고 있으며, 북아프리카 모로코는 미국의 우방국이고 이스라엘인의 방문을 허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아프리카 북동부의 아랍 국가인 수단은 이스라엘과 외교 정상화를 위해 미국 정부와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사우디아라비아도 이스라엘의 수교 대상국 후보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도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에 나설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힌데다, 사우디 내 이스라엘에 대한 입장 변화 기류도 감지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다른 아랍국과 달리 사우디는 '이슬람 종주국'이란 위상으로 볼때 파급력이 워낙 커 이스라엘과의 협정이 단기간 내에 이뤄지기 힘들 것이란 게 중론입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은 미국의 중재로 지난달 중순 UAE, 바레인과 평화 협정을 맺고 외교 관계를 정상화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랫동안 피로 얼룩졌던 중동에 평화 분위기가 본격적으로 조성될지 이스라엘의 대아랍권 외교 행보에 세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 입니다. (ymk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