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 출산율이 해마다 최저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극단적 선택으로 숨지는 사람은 OECD 최고 수준을 기록하는 불명예를 떠안았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부터는 사상 처음으로 자연적인 인구감소가 확실시되는 등 어두운 전망이 잇따라 나오면서 근본적인 인식전환이 시급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태민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 사태가 휩쓴 올해, 가뜩이나 팍팍했던 삶은 더욱 힘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 건 결혼과 출산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7월까지의 혼인 건수와 출생아 수는 나란히 10% 가까이 크게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기간을 따져 비교해봤을 때 역대 최소 수준을 경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고령 인구는 늘면서 올해부터는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도는 자연적 인구 감소현상이 시작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오는 2025년부터는 우리나라 인구 5명 중 1명은 65살이 넘는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합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힘든 현실에 스스로 삶을 저버리는 일도 여전히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우리나라 10대에서 30대까지 사망원인 1위, 40대와 50대 사망원인 2위는 '극단적 선택'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의적인 자해로 숨진 사람의 비율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[김수영 /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: 전년 대비 일단 0.9% 정도 증가를 했고, 연령 별로 보면 20~30대 여성, 그리고 월별로 보면 10~12월 사이의 증가 폭이 큽니다.] <br /> <br />이처럼 사람의 삶을 나타내는 지표들이 전부 바닥을 기고 있는 건 그만큼 '2020년 대한민국'이 살아가기 어렵고 힘든 사회라는 걸 뜻합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단편적인 정책에 의존하는 것이 아닌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. <br /> <br />[박경숙 /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: 그 사회의 지속 가능성이 매우 위험하다는 표시로 우리가 이해를 해야 된다고 생각이 됩니다. 많은 사람들이 삶의 균형을 찾을 수 있도록 그리고 안전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기본적인 사회안전망이 단단하게 보호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치열한 경쟁사회의 그늘을 보여주는 삶의 지표를 개선하려면 무엇보다 소외된 계층의 불안감을 이해하려는 인식 전환이 시급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민[tmkim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으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면 자살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00422465051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