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급형 스마트폰 경쟁 치열…시장 점유율에 방점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스마트폰 시장에선 최고사양의 플래그십 제품보다는 핵심기능만 갖추고 몸값을 낮춘 보급형 폰 영역에서 경쟁이 치열합니다.<br /><br />소비자가 체감 가능한 기술적 혁신이 어려워진 시점에서 헬스케어 등 주변 시장으로 확장을 위해 우선 점유율 확대에 치중하는 전략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삼성전자가 공개한 갤럭시 S20 팬 에디션 모델입니다.<br /><br />갤럭시 S20의 부품을 사용하면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기능만 탑재해 가격을 낮춘 보급형 제품입니다.<br /><br />지난 8월 전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위에 다시 오른 삼성전자 전략의 우선순위는 새로운 형태인 폴더블폰이나 프리미엄폰보다는 중저가폰 판매 확대에 있습니다.<br /><br />애플도 곧 공개할 아이폰12에서 몸값을 낮춘 모델을 출시해 올해 초 보급형으로 내놓았던 아이폰SE의 성공을 이어간다는 전략입니다.<br /><br />이는 제조사들이 기능을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스마트폰만으로 시장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한계에 부딪쳤다고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기존 기업들이 고가의 프리미엄폰 시장에서 벗어나서 실속성을 가지고 효율적인 중저가폰 시장에 주력하고 있다고…이를 발판으로 주변에 헬스케어, 웨어러블 기기와 연결되는 커넥팅 산업까지도 생각해서…"<br /><br />실제로 삼성전자에선 세계 최초로 허가받은 혈압 측정 앱을 스마트 폰에 탑재한 스마트 워치가 나오는 등 연동된 제품들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혈중산소포화도를 확인할 수 있는 애플워치도 가격을 낮춘 보급형 제품들을 출시하며 공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.<br /><br />LG전자도 보급형 라인업을 내놓으면서 국내뿐 아니라 유럽, 중남미, 아시아 등 세계 시장에서도 중저가폰 경쟁은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