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남한에서 국회의원까지 된 태영호 전 주영국 북한 대사관 공사에 이은 조성길 전 대사대리의 한국 망명이 더 주목을 받는 건, <br> <br>북한 외교관을 비롯한 북한 상류층의 동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. <br> <br>그의 집안과 전력을 보면 더욱 그렇습니다. <br> <br>정다은 기자가 자세히 전해드립니다. <br> <br>[리포트]<br>조성길 전 이탈리아 대사대리는 엘리트 코스만 밟아 온 정통 외교관입니다. <br> <br>1975년생으로 평양 최고 부촌인 중구역에서 태어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평양외국어대학 졸업하고, 프랑스어, 이탈리아어 등 4개국어에 능한 인재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아버지는 아프리카 대사를 지냈고 장인은 태국 대사를 지낸 평양 유력 외교관 집안 출신입니다. <br> <br>부인 역시 평양의대를 나와 북한에서도 상류층 금수저로 분류됩니다. <br> <br>조성길은 2015년 3등 서기관으로 이탈리아에 부임했고, 이후 1등 서기관으로 파격 승진해 대사대리 역할을 해왔습니다. <br> <br>이탈리아의 북한 공관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등 최고위층의 사치품, 이른바 '1호 물품'을 상납하는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즉, 김 위원장의 요트, 와인 등 사치품 밀수 루트와 돈세탁 과정 등 민감한 정보를 많이 알고 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잘 나가던 엘리트가 돌연 망명한 것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고영환 / 전 북한 외교관] <br>"이탈리아 같은 경우엔 39호실이나 김정은 서기실과 관련된 일들을 좀 하거든요. 요트를 보낸다든가, 이탈리아 와인을 보낸다든가 이런 과정에서 사고가 났을 가능성" <br> <br>해외에서 정권에 대한 비판 발언을 한 사실이 드러났거나 자녀 교육 등을 위해 북한을 등졌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조 전 대사는 부인, 아들과 함께 빠져나왔을 뿐 남겨진 딸은 북한에 강제 송환된 상태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 <br>dec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강승희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