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아직 공개하지 않아 깜깜이지만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을 북한이 자정 넘어 새벽에 진행했습니다. <br> <br>조금전 북한 매체가 그 영상을 녹화중계하고 있는데 관련 소식, 외교안보국제부 김성진 차장과 궁금증 풀어보겠습니다. <br><br>1) 우선 열병식, 리허설 아닙니까 오늘 새벽에 진행한게 맞나요? <br> <br>합동참모보부는 점심 무렵 "오늘 새벽 김일성 광장에서 대규모 장비와 인원을 동원해 열병식을 실시한 정황이 포착됐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평양에 있는 외신 특파원들도 "자정 무렵 불꽃놀이를 비롯해 항공기와 드론 소리가 들렸고 새벽 3쯤에는 중장비가 이동 소리도 들었다"고 SNS에 올렸습니다. <br> <br>낮에 열병식 움직임 없었고 장비도 이미 철수했다는 정보도 있어 심야에 진행된 것이 본행사일 가능성이 큽니다. <br><br>2) 보니까 북한이 열병식 개최한 게 2018년 9월 이후 2년여 만이라면서요.그 때는 정권 수립 70주년을 과시한 건데. 새벽은 또 처음 아닌가요? <br> <br>말씀하신 것처럼 열병식은 군사력 과시가 최대 목적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북한은 최근 코로나19로 국경을 꽁꽁 걸어 잠근 상태로 이번에는 외부 손님도 없습니다. <br> <br>평양 주재 외교사절과 외신 기자들의 행사장 접근까지 막았는데요. <br> <br>이번 행사는 철저한 내부 결속용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상당기간 공들여 준비한 만큼 의도적으로 힘을 빼거나 행사를 축소한 건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3) 나름대로는특색 있게 진행했다는 거네요. 오늘 행사가 김여정 제1부부장 작품이란 얘기도 있어요? <br><br>김여정 제1부부장. 지금 조직지도부를 맡고 있지만 선전선동 업무를 포함한 대남·대미 전략에도 깊숙이 관여하고 있습니다. <br><br>김 제1부부장은 지난 7월 담화에서 미국 독립기념일 DVD를 얻으려 한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.<br> <br>당시 미국 러시모워산 4명의 대통령 조각상을 배경으로 진행된 행사를 인상 깊게 봤던 것 같습니다. <br> <br>한밤 중에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과 에어쇼, 불꽃놀이로 구성됐는데 이번 평양 행사도 비슷한 구성이라 김여정 작품설이 나오는 겁니다. <br><br>4) 북한이 연초부터 새로운 전략무기 공개를 예고해 관심이 컸는데요. 신형 ICBM 등이 나올까요? <br> <br>열병식 순서는 보통 군인들의 행진 이후에 무기를 공개합니다. <br> <br>아직 화면에는 보이지 않고 있지만, 합동참모본부는 정밀 분석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이번 행사에는 대규모 장비와 2만 명의 병력이 동원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 <br> <br>사거리 1만3천km로 미 중부까지 타격할 수 있는 화성-15형을 뛰어넘는 고체엔진 기반의 다탄두 신형 ICBM이 나올지가 관심입니다. <br> <br>군은 위성 등으로 포착했더라도 북한이 열병식 보도에서 먼저 선보이지 않을 경우 관련 정보를 먼저 공개하지는 않을 방침입니다. <br> <br>북한이 야간에 열병식을 진행한 것도 한미 정찰 능력을 떠보기 위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데요. <br><br>새벽 이벤트에 이은 오후 7시 영상공개까지, 북한의 열병식은 그야말로 파격의 연속이네요. <br> <br>지금까지 외교안보국제부 김성진 차장이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