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음 달 초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나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 중 누가 대권을 잡든지 미국의 '자국 우선주의' 대외 경제 기조는 바뀌지 않을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민주당도 국내 일자리 보호에서만큼은 트럼프 정부 못지않은 강경 기조가 뚜렷해 한국을 비롯한 외국 기업을 견제하기 위한 수입 규제나 미중 무역분쟁이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오하이오주에 있는 가전업체 월풀을 방문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18년 초 삼성과 LG 세탁기에 긴급수입제한조치를 발동해 높은 관세를 매긴 사실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근로자들을 위한 조치였다는 점을 과시하면서 다시 집권하면 해외로 나간 주요 제조업체들을 복귀시키겠다고 다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8월 6일) : 앞으로 4년간 우리는 제약·의료 공급 사슬을 국내로 제 위치 시킬 것입니다. 세탁기와 건조기 제품에 했던 것처럼 중국 의존 상황에 종지부를 찍을 겁니다.] <br /> <br />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는 트럼프 대통령의 경제정책이 결국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맹공을 퍼붓지만 자국 내 일자리 보호 우선이라는 방향성은 다를 게 없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불공정 무역 등을 거론하면서 중국이 미국을 속였다는 주장을 펼쳐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은 대선 이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(지난달 29일 TV 토론회) : 중국은 훔치는 기술을 완성지었습니다. 중국과의 무역 적자는 사상 최대가 됐고, 멕시코와의 무역적자도 역대 가장 컸습니다.] <br /> <br />여당인 공화당과 야당인 민주당의 무역·통상정책 공약은 일자리 보호 측면에서 닮은꼴입니다. <br /> <br />공화당은 미국 일자리를 지키는 공정거래법 제정을 약속했고, 민주당도 노동자 보호 조항을 무역협정 체결의 조건으로 삼겠다는 공약을 내걸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바이든 후보가 집권하면 파리기후협약에 다시 가입하고, 탄소조정세 부과 등 친환경 정책을 밀어붙일 태세여서 새로운 무역분쟁을 낳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설송이 / 무역협회 통상지원센터 수석연구원 : 바이든 후보가 당선이 된다면 탄소세를 도입하는 미국, EU 등 선진국 대 이에 반대하는 중국 외 개발도상국 간의 구도로 탄소세를 둘러싼 무역 갈등이 빚어질 전망입니다.] <br /> <br />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는 지난해 미중 무역 갈등으로 성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01105300912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