은행들 실적 쌓기에 활용된 소상공인 코로나 대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들에게 낮은 이자로 돈을 빌려주는 코로나 대출을 시행했죠.<br /><br />그런데 대출 과정에서 은행들이 자사의 신용카드나 투자 상품에 가입하게 하며 실적을 쌓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 사태로 자금난에 빠진 소상공인들에 대해 정부가 금융지원에 나서 최대 3,000만원까지 시중 금리보다 싼 이자로 빌려줬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대출을 진행한 은행들이 이 과정에서 자신들의 금융 상품에 함께 가입하도록 했다는, 이른바 '끼워팔기'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실시된 코로나19 1·2차 대출 67만 7,000건 가운데 3분의 1 이상에서 대출이 실시된 지 2개월 이내에 다른 금융상품 판매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신용카드 발급이 17만건으로 가장 많았고, 예·적금 가입은 7만건 가까이 이뤄졌습니다. 중도해지를 했을 때 원금 손실이 가능한 보험·투자상품에 함께 가입한 경우도 6,000건이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은행별로 전북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에서 코로나19 대출을 받은 이들의 절반 이상이 이들 은행의 금융 상품에 함께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은행들은 법 위반은 없었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현행법상 대출받은 지 한 달 안에 대출금의 1%가 넘는 금융상품에 가입시켰을 때만 '꺾기'로 보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신용카드 가입 권유는 제재 대상에 아예 포함돼 있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대출이 절박한 소상공인들의 마음을 이용해서 은행들이 변칙 꺾기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. 정부의 공적 자금을 대출하면서 이런 일이 일어난다는 것은 상당히 심각한 문제입니다. 엄중한 조치가 필요합니다."<br /><br />은행권의 실적 쌓기 관행이 코로나 사태로 멍든 소상공인을 또 한 번 울렸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