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SLBM 잠수함 발사탄도미사일 이 두 가지가 있으면 지상에서 바다에서 핵탄두를 실어 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여기다 이번에 공개한 ICBM은요. 앞부분에 핵탄두 2~3개를 동시에 탑재해서 한 번 발사하면 여러 지역을 타격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실제 수준은 따져볼 문제지만, 종합적으로 북한은 핵기술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걸 여전히 목표로 삼고 있는 듯 합니다. <br> <br>5년 전 공개한 SLBM 역시 신형 잠수함급에 맞춰 더 발전한 걸로 분석됩니다. <br> <br>설령 북한이 먼저 공격을 받더라도 바로 보복할 수 있다.<br><br>즉. 최후수단도 있다는 걸 과시한 셈입니다. <br> <br>정하니 기자가 더 면밀하게 분석하겠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열병식 가장 마지막 순서. <br> <br> 새 전략무기인 신형 ICBM, 대륙간탄도미사일이 등장합니다. <br><br> 미사일을 떠받치는 이동식 발사차량의 바퀴를 세어보니 종전 화성-15형의 발사차량보다 바퀴가 2축 늘어난 11축입니다. <br> <br> 그만큼 미사일 자체 길이와 중량이 늘어났다는 의미로, 전문가들은 새 ICBM이 화성-15형보다 2~3m 정도 긴 23~24m에 달하고, 직경도 커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 화성-15형이 이미 미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만큼 새 ICBM의 사거리도 그와 버금가거나 넘어설 수 있습니다. <br><br> 탄두부의 길이가 길어진 것도 주목할 부분입니다. <br> <br>2~3개의 핵탄두를 넣은 다탄두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류성엽 / 군사연구소] <br>"한 발을 쐈는데 한 발이 떨어지는 게 아니라 두 발, 세 발. 많으면 아홉 발, 열 발까지 떨어지니까요. 전체적인 위협수준은 올라간다…." <br> <br> 탄두부 주변에 보이는 정체 불명의 노즐 역시 주목됩니다. <br> <br> 다탄두 미사일의 정밀한 타격을 돕는 후추진체 핵심 기술의 흔적이라는 분석이 나오는데, 개발에 성공했다면 미국 워싱턴 DC와 뉴욕을 동시 공격할 수 있는 전략 무기를 가진 셈입니다. <br> <br> 다만, 측면에 연료 주입구로 의심되는 사각형 표식으로 보아, 지체없이 발사 가능하도록 하는 고체 연료 엔진 장착까지는 기술이 발전하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미국 스탠퍼드대 열린핵네트워크 연구원은 "북이 선보인 미사일은 괴물"이라고 평가했습니다.<br> <br>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탄도미사일인 신형 SLBM도 공개됐는데, <br> <br>[현장음] <br>"세계 최강의 병기, 수중전략탄도탄." <br> <br> 역시 직경이 커지고 다탄두가 탑재 가능한 형태로 개발됐습니다. <br> <br> 북한이 건조 중인 것으로 추정되는 3천톤급 혹은 4~5천톤급 잠수함에 탑재될 가능성이 나오는 가운데, 아직 시험발사 등이 이뤄지지 않은 만큼 군사력 과시 차원으로, 실전배치 가능성은 미지수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하니입니다. <br> <br>honeyjung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