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구리 소년·이형호 유괴…미제 272건 재수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화성 연쇄살인사건의 용의자가 이춘재로 특정되면서 장기 미제 사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죠.<br /><br />현재 경찰이 수사중인 장기 미제 살인사건은 272건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곽준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화성연쇄살인과 함께 3대 장기미제 사건으로 꼽히는 개구리 소년 실종 사건.<br /><br />지난 1991년 대구에서 도롱뇽알을 잡으러 간 5명의 소년이 실종된 사건으로 이들의 유골은 10여년이 지나서야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같은 해 1월에는 당시 9살 이형호 군이 서울 압구정동에서 납치돼 43일 만에 주검으로 돌아왔습니다. 이 사건은 영화 '그놈 목소리'를 통해 다시 한번 세상의 주목을 받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형호 죽기를 바라십니까. 오늘이 마지막인 줄 아십시오."<br /><br />두 사건 모두 범인이 잡히지 않았고, 공소시효도 지났지만 경찰의 추적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현재 경찰이 재수사 중인 살인 사건은 모두 272건.<br /><br />지역별로는 서울이 59건으로 가장 많았고, 경기와 부산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.<br /><br />1999년 발생한 제주 변호사 살인과 2005년 신정동 엽기토끼 연쇄살인, 2010년 목포 예비간호사 살인 등 사회적 충격이 컸던 사건들이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은 장기미제사건 전담팀을 꾸린 2011년 이후 82명을 검거하는 등 모두 55건의 강력사건을 해결했습니다.<br /><br /> "새로운 증거를 찾아낼 수 있는지 다시 한번 재수사하고 찾아 볼 수 있게 강력히 요구하며 정책예산을 지원하고자 합니다."<br /><br />일명 '태완이 법'으로 법적 토대가 마련됐고, 과학수사 기법도 비약적으로 발달하면서 미제사건 재수사 성과에 대한 기대감 역시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곽준영입니다.<br /><br />kwak_ka@yna.co.kr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