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끌·빚투에 규제 무력…가계대출 증가폭 역대 9월 최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계속 가계대출을 죄는데도 지난 8월 은행 가계대출 증가 폭이 역대 최대였죠.<br /><br />지난달 증가세도 역대 9월로는 가장 많이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집값과 공모주 청약이 주원인으로 꼽히는데 금융당국은 추가 대출 규제를 검토 중이지만 쉽지 않아 보입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 사태에 아랑곳않는 집값과 전셋값, 여기에 투자 열풍까지…지난 8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폭은 역대 최대였습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의 억제조치에도 9월 역시 10조원 가까이 불어났습니다.<br /><br />8월에 이은 역대 2위이자 9월만 보면 2004년 집계 이래 가장 큰 증가 폭입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영끌'에 이용되는 신용대출이 대부분인 기타대출은 추석 상여금 덕에 8월보다는 둔화했지만, 9월로는 역시 역대 최대폭인 3조원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카카오게임즈 등 공모주 청약과 주택 매입, 전세자금 수요가 여전한 탓이란 게 한국은행의 설명입니다.<br /><br />주택담보대출도 9월 기준 역대 최대, 전체로는 다섯번째로 많이 늘었는데, 수도권 전셋값 급등에 전세자금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.<br /><br />은행뿐 아니라 전 금융권 가계대출도 8월보다는 주춤해졌지만, 지난해보다 7%가량 늘어 여전히 높은 증가세를 유지했습니다.<br /><br />커진 신용 위험에 금융당국은 돈줄을 더 죄는 방안을 고민 중이지만 서민 피해를 고려하면 수단에 한계가 뚜렷합니다.<br /><br /> "전세자금대출을 다 줄이면 결국은 또 (서민들이) 피해자가 되고, DSR(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)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."<br /><br />한은 역시 이달 본격 시작된 금융당국의 신용대출 관리 강화가 효과를 낼 수는 있지만, 통상 4분기는 가계자금 수요가 커지는 때라고 밝혀 억제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