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경매의 진화' 이끈 스승과 제자 노벨경제학상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해 노벨경제학상의 영예는 경매이론의 대가인 폴 밀그럼과 로버트 윌슨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.<br /><br />주파수나 어업 쿼터 같은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팔기 어려운 상품을 위한 새로운 경매 방식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았습니다.<br /><br />방주희 PD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올해 노벨경제학상은 주파수 경매제도 등의 기반이 된 새로운 경매 방식을 개발한 폴 밀그럼과 로버트 윌슨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.<br /><br />노벨위원회는 "경매는 어디에서든 벌어지고, 우리 일상생활에 영향을 준다"면서 두 사람이 개발한 경매 방식은 전 세계 매도자와 매수자는 물론 납세자들에게도 혜택을 줬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책 속의 근본적인 이론을 현실에 적용해 사회에 거대한 혜택이 됐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들이 개발한 경매 방식은 통신 주파수나 전력, 이산화탄소 배출권, 항공기 이착륙 권리 등 전통적인 경매 방식으로는 팔기 어려운 상품을 사고파는 데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이들이 개발한 새 경매 방식은 단순히 판매자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목표를 지니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두 사람 모두 스탠퍼드대 경영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있으며, 윌슨 교수는 경매품에 대한 공통의 가치를, 윌슨 교수의 제자인 밀그럼 교수는 응찰자의 사적인 가치에 집중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윌슨 교수는 이성적인 응찰자들이 자신들이 추정한 공통의 가치보다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이유를 '승자의 저주'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승자의 저주란 경쟁에서 이기려고 과도한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결국은 패배하고 마는 것을 말합니다.<br /><br />윌슨 교수는 노벨위원회와의 전화 통화에서 경매에 직접 참여해본 적이 없다고 밝혔다가 온라인 사이트인 이베이를 이용해 본 적이 있다고 급히 정정해 발표회장에서 웃음이 터져 나오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밀그럼 교수는 휴대전화를 무음으로 해놓고 잠이 드는 바람에 80대 노교수가 직접 제자의 집에 찾아가 깨운 후 수상 소식을 전달하는 진풍경이 펼쳤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주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