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현 정부가 임기 내에 전시작전통제권을 가져오려면 우리 군이 독자적인 정찰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. <br> <br>그런데, 개발 중인 무인기, 떨어지고, 얼어붙고, 문제가 큽니다. <br> <br>정다은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7월 국방과학연구소를 찾은 문재인 대통령 앞에 정찰위성과 중고도 무인기 모형이 놓여 있습니다. <br> <br>[지난 7월, ADD 방문] <br>"조만간 우리 기술로 군사정보 정찰위성까지 보유하게 되기를 기대합니다." <br> <br>국방과학연구소가 위성과 무인기를 콕 집어 내세운 건 <br> <br>전시작전통제권를 가져오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이 미국에 의존하지 않는 독자 정찰능력이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애슈턴 카터 / 당시 미 국방장관(2015년)] <br>"첫 번째는 한국군이 지휘통제와 정보능력 같은 추가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는 것이 (조건에) 포함돼 있습니다." <br> <br>그런데 북한을 감시할 정찰자산에 이상이 생겼습니다. <br> <br>13km 상공에서 24시간 북한을 들여다보는 중고도 무인기는 개발 완료 시점을 훌쩍 넘겨 3년째 시험 평가만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통신이 끊기고 결빙이 생기고 지상에 충돌하더니 이제는 하늘로 솟구쳐 오르지 못하는 결함까지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남북 군사합의로 정찰기는 동부 기준으로 군사분계선 40km 바깥까지만 비행할 수 있습니다.<br> <br>하지만, 무인기는 15km까지 접근할 수 있어 북한 장사정포와 방사포 움직임을 잡아낼 핵심 장비로 꼽힙니다.<br> <br>2년 뒤 쏘아 올리기로 한 정찰위성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코로나19 여파로 해외 공장이 폐쇄되면서, 부품 조달에 큰 차질이 생긴 겁니다.<br> <br>설상가상으로 2차 추경 편성 때 위성 관련 예산도 깎였습니다. <br> <br>현 상태로는 문재인 대통령 임기 내 전작권 전환에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dec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