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65세 이상 1,000만 명 넘어 ’초고령 사회’ <br />"향후 20년간 유소년 인구 134만 명 감소" <br />"16∼64세 생산연령인구 876만 명 줄어"<br /><br /> <br />저출산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5년 뒤 65세 이상 인구는 천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측됐습니다. <br /> <br />더 나아가 20년 뒤엔 생산연령인구 백 명이 부양해야 할 노년과 유소년 수가 무려 8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2분기 합계출산율이 사상 최저인 0.84명을 찍을 정도로 저출산이 심화하면서, 2029년부터 우리나라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통계청은 예측했습니다. <br /> <br />20년 뒤에도 총인구 5천만 명은 유지되지만, 외국인 비율이 4.5%까지 올라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령화가 빨라지면서, 5년 뒤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천만 명을 넘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65세 이상 인구는 2040년엔 지금의 2배 이상 증가하면서,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35%에 육박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0∼14세 유소년인구는 향후 20년간 134만 명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기간 16~64세인 생산연령인구는 876만 명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인구수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올해 39.8명에서 20년 뒤에는 79.7명까지 증가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: 현재 한국 경제는 인구의 감소, 인구 구조의 고령화에 따른 생산성 약화와 공적기금에 어려움에 봉착해 있고요. 이를 타개하기 위한 생산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, 보다 실효성 있는 인구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 됩니다.] <br /> <br />외국인과 귀화자, 이민자 2세 비중은 갈수록 커져 2040년 352만 명까지 증가하며 총인구 중 6.9%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은 내국인 인구 감소에 따라 정부가 2천 년대 중반부터 고용과 결혼 등에서 외국인 유입 정책을 편 영향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[insuko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01519051442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