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우리 안보 수장들이 동시에 워싱턴으로 향했습니다. <br> <br>서훈 대통령 국가안보실장과 서욱 국방부장관이 지금 워싱턴에 머물고 있는데요. <br> <br>미국 대선을 20일 남짓 앞둔 시점의 방문이어서 그 배경에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특히 취임 후 처음 미국을 방문한 서 실장은, 극비리에 떠났고,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, 폼페이오 국무장관 등 미 최고수뇌부와 연쇄 회동을 했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남북 정상 사이엔 수 차례 친서가 오갔고, 문재인 대통령은 종전선언 구상도 강조해왔지요. <br> <br>이번 달 북미 관계에 뭔가 변화가 생길지, 주목받고 있습니다. <br> <br>첫 소식, 전혜정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훈 대통령 국가안보실장이 취임 후 처음으로 미국 워싱턴을 방문했습니다. <br> <br>서 실장은 오늘 오전 자신의 카운터파트너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면담한 데 이어, <br> <br>내일 새벽에는 미 국무부 청사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을 만납니다.<br> <br>외교소식통은 서 실장의 방미에 대해 "다음달 3일 미국 대선 전에 한미 간의 다양한 현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"라고 전했습니다.<br> <br>우선 교착 상태에 빠진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주미 한국대사의 발언으로 다시 불거진 한미 동맹 이상기류를 점검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이수혁 / 주미 한국대사(지난 12일)] <br>"70여 년 전에 미국을 선택했기 때문에 앞으로도 70년간 미국을 선택하는 게 아닙니다." <br> <br>또 문재인 대통령이 강조해온 '종전 선언' 문제를 협의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여권에서는 이번 방미를 계기로 북미 관계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이른바 '옥토버 서프라이즈'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됩니다.<br> <br>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10일 열병식에서 북한의 대외정책 변화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김정은 / 북한 국무위원장(지난 10일)] <br>"사랑하는 남녘의 동포들에게도 따뜻한 이 마음을 보내며 북과 남이 다시 두 손을 마주잡는 날이 찾아오기를 기원합니다." <br> <br>서 실장은 3박 4일 동안 백악관, 국무부, 국방부와 싱크탱크 관계자 등을 두루 만난 뒤 모레 귀국할 예정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 <br>hye@donga.com <br>영상편집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