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“절대 안 망한다더니”…사모펀드 잇따른 부실 사태

2020-10-15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옵티머스 사태와 라임 사태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점은 눈물 흘리는 피해자들이 있다는 점입니다. <br> <br>이 두 펀드 뿐만 아니라 최근 사모 펀드 관련 피해가 크게 늘었습니다. <br> <br>불과 2년 사이에 투자금을 돌려받을 수 없는 사태를 일으킨 사모 펀드가 300개가 넘습니다. <br> <br>판매를 맡은 금융사들 말만 믿었다가 생계자금을 잃은 투자자들이 수두룩합니다. <br> <br>사모펀드는 투자구조가 복잡하고 리스크가 큰데, 대책 없이 문턱만 낮춰 놓은 것이 문제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박정서, 안건우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2017년부터 2년간 판매된 이탈리아 헬스케어 사모펀드. <br> <br>양모 씨가 10억 원 가까운 전세금을 넣은 건 지난해 6월이었습니다. <br><br>판매사인 하나은행을 찾았다가 예금 금리를 웃도는 연 5% 수익률에 안정적인 상품이란 권유를 받고 <br>투자를 결심했습니다. <br> <br>[양모 씨 /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 투자자] <br>"이탈리아 정부의 의료 예산으로 편성되서 나오기 때문에 이탈리아 정부가 망하지 않는 한 절대 회수되는, 안전성이 탁월한 상품이다. 안전성과 기간이 저희한테 딱 맞았어요." <br><br>투자자 400여 명에게 1188억원어치가 팔렸지만, 지난 4월 환매가 중단됐습니다. <br> <br>이 펀드는 이탈리아 병원들이 지역 정부에 청구할 진료비 매출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. <br><br>하지만 하나은행의 펀드 실사 결과, <br> <br>단기채권 위주로 운용할 계획이라던 펀드에 장기채권이 편입됐고 이런 장기 채권을 시장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매입한 정황도 나왔습니다. <br> <br>지난 4월 기준 9개 펀드 중 4개 펀드는 투자금의 57%, 한 펀드는 39%밖에 남지 않았습니다.<br> <br>'13개월 만에 조기상환이 가능하다'고 판매했지만, 5, 6년 뒤로 환매가 지연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옵니다. <br> <br>[양모 씨 /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 투자자] <br>"하나은행에서 나온 사내메일 보여주면서 무조건 상환이다. 끊임없이 괜찮다 문제없다…" <br> <br>하나은행 측은 판매사일 뿐 펀드 부실에 대해서는 몰랐다며 고객들에게 보상안을 제시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양 씨를 포함한 일부 투자자들은 거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고객 기망 행위 인정하고 원금 전액 반환하라!" <br> <br>헬스케어 펀드 뿐 아니라 사모펀드 환매 중지 사태가 잇따라 벌어지면서 <br> <br>소비자 보호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영수 <br>영상편집: 이희정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7, 8월 사모펀드 환매연기는 한 달에 20건 꼴. <br><br>올해로 범위를 넓히면 164개, <br><br>지난해까지 하면 351개의 사모펀드가 투자금을 돌려주지 못했습니다. <br><br>환매 연기 사태가 최근 2년간 집중 발생한 겁니다.<br><br>화근은 2015년부터 3년 동안 완화된 사모펀드 규제. <br><br>사모펀드사 설립에 필요한 필수 자본이 6분의 1로 줄고 운용사 설립도 허가제에서 등록제로 바뀌면서 수백 개의 사모펀드가 난립했습니다.<br><br>1억 원만 있으면 누구나 투자할 수 있도록 진입장벽이 낮아졌지만 안전장치는 없었습니다. <br><br>일부 금융사기꾼들에게 금융지식이 없는 투자자들의 돈은 좋은 먹잇감이었습니다. <br><br>[조남희 / 금융소비자원장] <br>"사모펀드는 멋대로 모집해 멋대로 투자행위를 해도 규제·모니터링을 받지 않기 때문에 마음대로 사기를 칠 수 있는 것이죠. <br><br>사모펀드 천국인 미국에선 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 금융 전문성이 있고 손실을 감당할 자산과 수입이 있는 사람만 투자할 수 있게 했습니다.<br><br>진입 장벽을 다시 높이자는 대안이 거론되는 이유입니다. <br><br>판매사인 은행과 증권사의 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 지적도 나옵니다. <br><br>[황세운 /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] <br>"위험성이 있는 사모펀드라면 판매사들이 걸러주는 기능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도록 더 큰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" <br><br>잇따른 부실에 정부가 사모펀드 최소 투자액을 1억 원에서 3억 원으로 올렸지만 <br><br>금융당국과 금융회사의 치밀한 검증과 관리 감독 시스템도 마련돼야 합니다. <br>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 <br><br>srv1954@donag.com <br>영상취재: 이승훈 <br>영상편집: 김민정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