9월 고용절벽 현실화…취업자 39만2천명 ↓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 수가 40만명 가까이 줄어들며 코로나19 1차 유행기 수준으로 급감했습니다.<br /><br />8월 재확산으로 인한 고용 한파가 드러나고 있는 건데, 자세한 소식 보도국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9월 취업자 수는 2,701만2,000명으로 1년 전보다 39만2,000명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4월에 47만6,000명, 5월에 39만2,000명 감소하다 6월부터 점차 감소 폭이 줄었는데 다시 4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감소한 겁니다.<br /><br />8월 고용 통계에는 코로나19 재확산 여파가 반영되지 못했다가 9월 통계부터 본격적으로 고용 절벽 상황이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영향을 크게 받은 숙박·음식점업, 도소매업에서 취업자 수가 20만명 이상씩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취업자 수는 7개월째 연속 줄고 있고, 이로써 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8개월 연속 감소한 역대 최장 기록과 같아지는 데 한 달밖에 남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실업률은 1년 전보다 0.5%포인트 상승한 3.6%로 20년만에 최고치라고 통계청은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실업자 수는 11만6,000명 늘어 역시 4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였고, 15세 이상 고용률은 60.3%로 같은 달 기준으로 8년만에 최저였습니다.<br /><br />또 비경제활동인구 중 '쉬었음'으로 분류된 사람은 241만3,000명으로, 9월 기준으론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가장 많았습니다.<br /><br />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고용 상황에 대해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"사회적 거리두기 2.5단계의 파급 영향이 너무 컸던 것으로 보인다"며 "다만 거리두기 완화와 소비지표 회복세 등으로 미뤄 10월부터는 고용 개선을 조심스럽게 예상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