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일본은 9년 전 지진으로 중단된 후쿠시마 원전에 쌓인 오염수 120만톤이 골칫거리입니다. <br> <br>일본 정부가 정화작업 거친 뒤 바다에 방류하는 방침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인접국인 우리도 영향 받을 수 있어 양국 관계에 또다른 뇌관이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도쿄 김범석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일본 정부가 이달 말 관계 회의를 열고 후쿠시마 제1원전에 쌓인 오염수를 처리해 바다로 방류하는 방침을 굳혔다고 일본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[가지야마 히로시 / 경제산업상] <br>“언제까지 결정하지 않은 채 놔둘 수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. 현재 받은 의견들을 신중히 정리하는 작업 중입니다." <br> <br> 1년 전 환경상이 퇴임 직전 언급하면서 이슈가 됐고, <br> <br>[하라다 요시아키 / 전 환경상 (지난해 10월)] <br>"일본, 세계 모든 원자력 발전소에서 트리튬을 포함한 것을 제대로 희석 처리해 바다로 방류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 스가 총리는 취임 직후 후쿠시마를 방문해 가능한 빨리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규제당국의 심사와 승인을 마치면 실제 방류는 약 2년 뒤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 일본 정부는 현재 123만톤에 달하는 원전 오염수가 2년 뒤 137만톤까지 늘어 한계치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그러나 2년 전, 정화한 뒤에도 80% 넘는 방사능 물질이 기준치 이상 나오는 등 안전에 대한 우려는 사라지지 않습니다. <br> <br> 반발하고 있는 현지 어민들은 한국 등 인접국가 영향도 우려합니다 <br> <br>[후쿠시마 어민] <br>"바다는 이어져 있어서 (다른 인접 지역으로도) 흘러갑니다." <br> <br>[김범석 특파원] <br>"우리 정부는 범정부 차원에서 논의하고 국제사회와의 공조도 강구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전문가들은 오염수 처리가 강제징용 문제 등으로 얽힌 한일 관계에 또 다른 악재로 떠오를 수 있다며 <br>우려를 나타냈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"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