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“파도에 떠밀리는 상륙 장갑차”…신형 도입 난항

2020-10-17 24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해병대는, 적 해안에 상륙해 진격할 교두보를 마련하는 역할을 하죠. <br><br>그래서 해병대 핵심전력으로 ‘상륙장갑차’가 꼽히는데요,<br><br> 이게 힘이 달리고 속도도 느리다면, 군사무기로 의미가 있을까요? <br><br>파도가 거세면 떠내려갈 정도입니다. <br> <br>정다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바다 위 강습함에서 해병대 상륙장갑차가 발진합니다. <br> <br>물살을 가르며 적의 포격을 뚫고 뭍에 올라와 적 해안을 장악합니다. <br> <br>전쟁이 나면 비수처럼 적진 깊숙이 침투해 교두보를 마련하는 해병대에게 상륙 장갑차는 핵심 전력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정치권에서 상륙 돌격장갑차가 거센 파도에 떠내려갈 만큼 힘이 달리고 속도도 느리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[김민기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다른 나라의 돌격장갑차에 비해서 해상 속도가 많이 느립니다. 상륙돌격장갑차의 속도는 상륙작전의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에…." <br> <br> 1970년대 미국에서 개발한 상륙장갑차를 1998년부터 국내에서 면허생산한 제품들입니다. <br> <br>병력 20명, 2개 분대가 타는데 바다 위 속도가 시속 13km에 불과해 적 표적이 되기 쉽다는 겁니다. <br> <br>미군은 내년부터 새로운 상륙 장갑차를 실전 배치할 계획으로 다양한 행태의 추가 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우리 군도 도입 30년이 되는 2028년에는 지금 장갑차를 도태시켜야 하는 만큼 신형 장갑차 160여 대를 차례로 배치할 계획입니다.<br><br>1조 8천억 원을 투입해 해상에서 시속 20km 이상 달리는 수 있는 신형 장갑차를 개발해 2029년부터 양산할 계획입니다.<br> <br>그런데 엔진과 변속기 등 핵심부품을 놓고 정부 기관이 충돌하면서 사업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습니다. <br><br> 국방과학연구소는 악천후까지 고려하면 2천 마력 엔진이 필요하다며 뒤늦게 해외 구매를 추진하고 있지만 감사원은 당초 계획대로 국내 기술 기술로 개발하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해병대 병력 생존을 좌우할 신형 상륙 장갑차 도입이 기약 없이 늦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다은입니다. <br> <br>dec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변은민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