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요즘 공모주가 상장하면 첫날부터 두 배 까지 오른다고 ‘따상’이라는 말도 나왔죠. <br><br>딱히 돈 굴릴 데 없는 개인들이 공모주 투자에 열 올리는 이유인데, 빅히트에서는 빗나갔습니다. <br><br>BTS처럼 화려하게 상장했지만 쭉미끄러진 겁니다. <br><br>냉정히 따져봤더니 처음부터 위험한, 묻지마 투자였습니다. <br><br>박정서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공모주 청약에서 증거금만 58조 원을 넘게 모으며 흥행몰이에 성공한 빅히트 엔터테인먼트. <br> <br>지난 15일 장이 시작하자마자 청약에 실패한 개미들이 빅히트에 몰렸습니다. <br> <br>[방시혁 /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의장 (지난 15일)] <br>"세계 최고의 엔터테인먼트 라이프 스타일 플랫폼 기업으로 힘차게 나아가겠습니다." <br><br>빅히트는 코스피 입성과 동시에 이른바 ‘따상’에 성공하며 화려하게 안착하는 듯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곧바로 주가는 하락세를 기록해 이틀 만에 급락했습니다. <br> <br>앞서 SK바이오팜이나 카카오게임즈의 경우 최소 이틀은 상한가가 이어진 만큼 따상 이후에도 수익률을 기대했던 개미투자자들은 충격에 빠졌습니다. <br> <br>"주식도 환불이 되냐"는 하소연까지 쏟아졌습니다. <br> <br>이틀간 개인 투자자들의 순매수 규모는 4천억 원어치. <br><br>하루 사이 30% 가까운 손실을 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> <br>증권가에서는 애초 연예기획사임에도 불구하고 약 5조원에 달하는 몸값부터 고평가됐었다고 지적합니다. <br><br>빅히트의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JYP등 엔터테인먼트 3사를 모두 합친 액수보다 많았습니다. <br><br>빅히트의 팬 커뮤니티 사업인 '위버스'의 가치를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플랫폼 기업을 비교 대상으로 삼은 것도 문제로 지적됐습니다. <br> <br>카카오뱅크, 크래프톤 등 향후 기업공개를 앞두고 있는 공모주에 대해서도 관심이 여전한 상황. <br> <br>전문가들은 적어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되는 투자설명서 정도는 읽어보고 투자 여부를 결정할 것을 조언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준희 <br>영상편집: 이재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