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월성 원전 1호기, 2012년 7000억 원을 들여 새로 고치며 2022년까지 쓸 예정이었습니다. <br> <br>[2017. 6월 (문재인 대통령)] <br>"월성 원전 1호기는 전력 수급 상황 고려해 가급적 빨리 폐쇄" <br> <br>탈원전 정책을 내세운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며 2018년 조기폐쇄가 결정됐죠. <br> <br>이 결정이 적절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끊이질 않으며 감사원 감사까지 시작됐는데, 이렇게 저항이 심한 감사는 처음이라는 감사원장의 말이 나올 만큼 우여곡절이 많았습니다. <br> <br>오늘 386일 만에 감사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감사원은 월성 1호기 가동 경제성이 불합리하게 낮게 평가됐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> <br>다만 조기 폐쇄 결정이 타당했냐는 판단은 유보했습니다. <br> <br>먼저 전혜정 기자가 원전 폐쇄 문제에 대한 감사 결과 내용을 정리해드립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감사원이 한국수력원자력과 산업통상자원부,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관계부처를 감사한 결과, <br> <br>월성 원전 1호기 조기폐쇄 결정의 근거가 됐던 경제성 평가가 불합리했다고 결론 내렸습니다. <br><br>감사원에 따르면 한수원은 회계법인에 경제성 평가를 맡기면서 원전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여러 판매단가 가운데 가격이 낮은 단가를 적용하도록 해 판매수익을 낮게 추정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또 인건비 등 비용은 과다하게 책정해 원전 가동의 경제성을 불합리하게 낮게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이 과정에 산업통상자원부 직원들도 관여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감사원은 조기폐쇄 결정이 타당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"이번 감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"며 판단을 유보했습니다.<br> <br>조기 폐쇄 결정에는 경제성 이외에 안전성이나 지역 주민의 수용 여부까지 고려됐는데 이번 감사는 경제성 분야에만 국한됐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전혜정 기자] <br>감사원이 원전 경제성 평가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하면서 문재인 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탈원전 정책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청와대는 일단 "특별한 입장이 없다"며 말을 아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" <br> <br>hy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