철퇴 맞은 라임운용…등록 취소에 임원 해임 권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조 6,000억원대 사모펀드 환매 중단사태를 불러온 라임자산운용이 결국 금융당국의 철퇴를 맞았습니다.<br /><br />회사는 시장 퇴출, 핵심 임원은 해임 권고조치가 내려졌는데요.<br /><br />아직 절차가 남아있지만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조성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단위 펀드 환매 중단에다 로비 의혹으로 수사까지 받고 있는 라임자산운용에 대한 퇴출 결정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금융감독원이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등록 취소를 결정한 겁니다.<br /><br />5단계인 금융사 제재 중 최고 수위입니다.<br /><br />사기 등 혐의로 구속 수감된 원종준 대표와 이종필 전 부사장 등 핵심 임원들에도 최고 중징계인 해임 권고가 내려졌습니다.<br /><br />제재가 확정되면 회사는 사라지고 사태 주역들은 5년간 금융권 재취업을 할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아직 증권선물위원회와 금융위원회의 의결을 거쳐야 하지만 제재 수위가 낮아질 가능성은 낮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라임은 4개 모펀드와 173개 자펀드로 구성된 사모펀드를 운용하면서 펀드의 부실을 파악하고도 이를 숨기고 계속 팔아 결국 1조 6,679억원의 환매 중단사태를 일으켰습니다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전방위 정관계 로비를 했다는 의혹도 불거져 옵티머스자산운용과 함께 올해 국정감사의 핵심 쟁점이 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다른 자산운용사들도 편법적 운용을 할 수 있는 유혹이 있는데 이번 라임에 대한 중징계로 선례를 남기고 시그널을 줘야 합니다."<br /><br />금감원은 다음주에는 신한금융투자와 KB, 대신증권 등 라임 펀드를 판 증권사들에 대한 징계 수위를 논의합니다.<br /><br />이미 이들 증권사와 최고경영자들에게는 중징계가 사전 통보됐는데,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법적 공방도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우리은행, 신한은행 등 라임 펀드 판매 은행들에 대한 제재는 마지막으로 이뤄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