예정대로 탈원전 지속…월성 1호기 해체에만 8천억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감사원이 조기 폐쇄 결정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어렵다고 하면서 월성 1호기는 예정대로 해체 수순을 밟을 거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해체 비용만 8천억원이 넘는데, 이 외 탈원전 정책에 쓰일 비용은 국민들이 매달 내는 전기 요금의 일부로 메워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감사원 감사 결과 발표 이후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지속하겠단 뜻을 분명히 하면서 월성 1호기는 고리 1호기에 이어 예정대로 국내 두 번째로 해체 절차를 밟는 원전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해체 완료까지는 15년 정도가 걸리고 비용은 8,000억원 이상이 들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우선 한국수력원자력이 쌓아둔 해체충당금으로 감당한다지만, 이후 비용이 더 늘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이것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월성1호기 조기폐쇄로 기존 투자된 설비개선 비용, 잔존가치 등의 손실은 5,6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되고, 계획했다 백지화된 영덕, 삼척 원전 4기에 들어간 돈도 이미 1,000억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정부는 '탈원전' 후속조치 비용을 전력산업기반기금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 기금은 매달 내는 전기요금에 3.7%씩 부과해 조성한 돈으로 사실상 전기요금으로 손실을 메우는 셈입니다.<br /><br />산업부는 감사 과정에서 400개가 넘는 원전자료를 삭제한 사실이 드러났지만, 피조사자 개인의 판단이었단 입장만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오히려 경제성을 불합리하게 낮췄다는 지적에 동의하기 어렵다며 에너지전환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약간 충격적이었죠. 기대한 것보다 저희들이 감사과정에서 주장한 것들이 반영이 거의 안 됐더라고요."<br /><br />산업부는 감사 재심 청구 여부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