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 감사원이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에 대한 최종 감사 결과를 발표했죠. <br> <br>끝난 게 아닙니다. <br> <br>검찰로 넘어가게 됐는데요. <br> <br>감사원은 산업부 공무원들이 폐기한 444개 파일 중 120개 파일 내용은 복원해내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그 안에 무슨 내용이 들었는지, 삭제를 지시한 윗선은 없었는지를 밝혀내는 건 이제 검찰의 몫이 됐습니다. <br> <br>강지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감사원은 월성 1호기 조기폐쇄 관련 감사를 앞두고 증거 인멸에 가담한 산업부 A국장과 직원 B씨의 수사 관련 자료를 이르면 이번주 내에 검찰에 제출할 예정입니다. <br><br>감사원 감사 결과 산업부 A국장의 지시를 받은 부하 직원 B씨는 일요일밤 11시 24분부터 2시간 동안 444개의 파일을 삭제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> <br>포렌식으로 파일이 복구되더라도 원래 내용을 알아볼 수 없도록 이중 작업도 했습니다. <br><br>파일 작성일자와 문서 제목으로 정리돼 있던 파일명을 '4234'와 같은 무작위 숫자로 바꾸거나 파일 내용을 'ㄴㅇㄹ'로 아무렇게나 다시 저장한 겁니다.<br><br>이렇게 삭제된 444개 파일 중 '에너지 전환 후속조치 추진계획'과 '한수원 사장에게 요청할 사항' 등 324개 파일이 감사 과정에서 복구됐는데, 이 중에는 'BH 송부'라고 적힌 청와대 보고 문서도 다수 포함돼 있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실무직원 2명 이외의 윗선 개입은 밝혀내지 못하고, 징계 요청만 한 탓에 꼬리자르기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[최형두 / 국민의힘 원내대변인] <br>"이런 증거인멸이 산업부 국장급이 자체 판단으로 했을 리 만무합니다. 장관과 청와대의 개입을 감추고 꼬리만 자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입니다." <br> <br>결국 검찰 수사를 통해 윗선 개입 의혹을 밝힐 수 밖에 없는데, 감사원 안팎에선 복구되지 않은 120개 파일이 결정적 증거가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청와대에 보고됐던 민감한 파일이 상당수 포함됐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채널A는 당사자인 A국장에게 윗선의 다른 지시가 있었냐고 물었지만 답변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