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리보다 먼저 전동 킥보드가 유행한 다른 나라는 어떨까요? <br> <br>오히려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입니다. <br> <br>구자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전동킥보드 시장이 활성화된 해외에서는 킥보드 주행을 규제하자는 논의가 일찌감치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특히 프랑스는 값비싼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. <br> <br>지난 2017년 킥보드 사고로 284명이 다치고 5명이 숨지자 인도에서 킥보드를 타다 적발되면 우리 돈으로 19만 원의 벌금을 물렸습니다. <br> <br>주행 속도가 시속 25킬로미터를 넘으면 210만 원의 벌금도 물어야 합니다. <br><br>독일은 전동 킥보드를 타려면 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합니다. <br> <br>헬멧도 반드시 착용해야 하고 자전거 도로에서만 탈 수 있습니다. <br><br>일본에서 킥보드는 자동차로 간주됩니다. <br><br>보험 가입은 물론, 운전면허등록과 번호판 부착, 차량 등록이 필수입니다. <br> <br>또 반드시 도로에서만 타야 합니다. <br> <br>[정경옥 /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위원] <br>"안전이 담보가 안 된다면 교통수단으로 사용하면 안 되거든요. 안전을 위한 규제는 당연히 강화할 필요가 있는 거고요." <br><br>사전 규제를 넘어 처벌을 강화하는 나라도 있습니다. <br> <br>싱가포로에서는 운행이 허용된 도로라도 보행자를 위협할 경우 6개월 이내의 징역형을 선고받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는 공유경제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있지만, 안전 측면에서는 선진국과는 거꾸로 간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구자준입니다. <br> <br>jajoonneam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