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 항공우주국 탐사선이 소행성의 흙을 채취하는데 성공했습니다. <br> <br>10초 남짓의 짧은 순간 소행성에 닿았는데, 이 10초를 위해 4년 동안 날아갔습니다. <br> <br>윤수민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구로부터 약 3억 3400만km 떨어진 소행성 '베누'. <br><br>화성보다 5배나 먼 곳으로 지구와 통신하려면 18분을 기다려야 합니다.<br> <br>63빌딩 두 배 크기의 이 작은 소행성에 탐사선 오시리스-렉스가 접근합니다. <br> <br>북반구에 위치한 '나이팅게일'에 로봇팔을 쭉 뻗은 뒤 내려가 팔 끝을 소행성 표면에 가져갑니다. <br> <br>[현장음]<br>"진입합니다. 진입합니다. 터치다운을 선언합니다."<br><br>곧바로 질소가스를 표면에 쏴, 튀어오르는 자갈을 로봇팔로 채집하는데 성공합니다. <br> <br>중력이 낮아 착륙할 수 없자 스치듯 날아가며 빨아들인 겁니다. <br> <br>[단테 로레타 / 나사 항공우주국 조사관] <br>"지금 너무 벅차네요. 소행성 표면까지 도달했습니다. 접촉을 했고요. 가스통이 터졌죠." <br> <br>소행성 베누와 접촉한 시간은 단 10초. <br> <br>하지만 이 10초를 위해 오시리스-렉스는 지구에서 4년이나 날아간 겁니다. <br> <br>베누는 약 45억 년 전에 만들어져 태양계 형성과 생명의 기원을 풀 수 있는 '타임캡슐'로 여겨지고 있습니다. <br><br>[루시 림 / 나사 항공우주국 행성 과학자] <br>"소행성들은 굉장하고, 지구와 달이 형성되기 전 태양계의 아주 초기 역사에 대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." <br> <br>오시리스-렉스는 내년 1월 한번 더 흙을 채취한 뒤 지구로 복귀합니다. <br> <br>밀봉된 용기에 담긴 흙은 오는 2023년 9월쯤 낙하산에 매달려 유타주 사막에 떨어지게 됩니다. <br> <br>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채널A 뉴스 윤수민입니다. <br> <br>soom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