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금리 장기화·새 임대차법 시행…전세난 계속 <br />전셋값 키 맞추기…지방도 전셋값 오름세 이어져 <br />"당장 전세난 해결할 수 있는 뾰족한 대책 없어"<br /><br /> <br />새 임대차법 시행과 저금리 장기화 등의 영향으로 수요가 늘면서 전세난이 전국으로 확산하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전국아파트 전셋값이 5년 6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해 불안한 모습이 이어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정부는 전세 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, 뾰족한 대안은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백종규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송파구에 있는 대단지 아파트입니다. <br /> <br />전용면적 85㎡ 전셋집이 9~11억 원 사이에 거래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최근 전세난이 심화하자 집주인이 원하는 전셋값은 14억 원까지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저금리 장기화와 새 임대차법 시행 등의 이유로 전세 재계약이 늘고 실거주 요건 등이 강화되면서 매물은 줄고 전셋값은 상승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서울 전셋값은 이번 주 0.08% 올라 상승세가 69주째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 아파트도 전셋값 오름세가 계속되면서 0.21%의 상승률을 기록해 63주 연속 가격이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현상은 수도권에 그치지 않고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주 전국 아파트와 지방 아파트 전셋값은 각각 0.21% 올랐는데, 전국은 5년 반 만에, 지방 아파트 전셋값은 7년 6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가격이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방에서도 집주인들이 4년 앞을 내다보고 전셋값을 올리고 있고, 가장 높게 거래된 가격에 전셋값이 키를 맞춰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윤지해 /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: (새 임대차법 시행의) 과도기 국면에서의 진통으로 이해하면 되는데요. 이런 상황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공공주도의 양질의 전, 월세 물량 공급이 꾸준히 이어질 필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상황이 이렇자, 정부는 전세난 해결을 위한 대안 찾기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명확한 해결책은 공급을 늘리는 방법이지만, 당장 입주할 수 있는 양질의 물량을 곧바로 마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: 지금의 전세시장 불안정성을 완화할 수 있는 혹시 정부가 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이 있는지 대책이, 어떤 여지가 있는지를 저희도 모색하고 있고요.] <br /> <br />섣부르게 24번째 부동산 대책을 내놨다가 시장 상황이 더 악화할 수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02218504267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