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리 공무원이 북한에 피격당한 사건은, 유엔에서도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습니다. <br><br> 민간인을 살해하고 시신까지 불태운 건 국제인권법 위반이라는 규탄도 내놨습니다. <br><br>하지만 문제가 있습니다. <br><br>유엔이 우리 국방부 발표를 근거로 입장을 내논 마당에 시신 소각을 ‘확인’했다던 국방부가 한발 물러선 겁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북한이 서해에서 우리 공무원을 살해한 사건이 유엔총회 화상회의에서 언급되기 시작했습니다. <br><br>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북한 경비병이 총격을 가하고 시신을 불태운 사건은 "자의적인 사살이자, 국제 인권법 위반"이라고 규탄했습니다.<br> <br> 유엔 무대에서 북한의 만행이 지적되고 있지만 한 달 전 시신 소각을 확인했던 국방부 장관은 말을 바꿨습니다. <br> <br>[서욱 / 국방부 장관 (어제)]<br>"언론에 나오면서 제가 좀 급해졌었습니다. 추정된 사실을 너무 단도직입적인, 단언적인 표현을 해서 이렇게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드렸는데…" <br><br> 당시 국회에 출석해 시신 소각을 직간접적으로 일곱 차례 이상 언급했던 서 장관. <br> <br>[서욱 / 국방부 장관 (지난달)] <br>"다양한 첩보를 정밀 분석한 결과 시신을 불태우는 만행을 저질렀음을 확인하였습니다" <br> <br>[서욱 / 국방부 장관 (지난달)]<br>(틀림없는 사실로 정보로 인정되는 겁니까?) "예, 지금 현재는 그렇습니다" <br> <br>[서욱 / 국방부 장관 (지난달)]<br>(불로 시신을 훼손했잖아요?) "예" <br> <br> 입장문에도 '만행'이란 단어를 3차례나 언급했던 군 당국이 이제 와서 한 발 물러선 겁니다. <br> <br> 김정은 위원장은 우리 군의 입장 발표 다음날 사살은 했지만 시신 소각은 하지 않았다는 취지의 통지문을 보내왔습니다. <br> <br>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은 대한민국을 국제 거짓말쟁이로 만든 국방부장관을 경질해야 한다고 SNS를 통해 밝혔습니다. <br><br> 논란이 커지자 국방부는 시신 소각으로 추정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고 북에 강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지난달 단정적 표현을 사용했다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최선입니다. <br> <br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>영상편집: 방성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