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동계 "故이건희 애도…무노조 경영 과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80념 넘게 '무노조 경영' 원칙을 고수하던 삼성은 지난 5월 이재용 부회장의 사과 이후 전환기를 맞았습니다.<br /><br />노동계는 이건희 회장 별세에 애도를 표하면서도 '무노조 경영'이라는 과는 분명하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팽재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눈에 흙이 들어가도 노조는 안된다'<br /><br />삼성 창업주 고(故) 이병철 회장의 뜻은 80년 넘게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지난 2011년 삼성에버랜드에서 처음 노조가 설립되긴 했지만 4명에 불과했고, 지난해 들어서야 한국노총의 지원을 받는 사실상의 첫 '삼성 노조'가 설립됐습니다.<br /><br />노동계는 이건희 회장 별세에 대해 일제히 애도를 표하면서도 '무노조 경영'에 대한 잘못을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한국노총은 "고인의 공과 과가 뚜렸했다"면서 "정경유착과 무노조 경영, 노동자 탄압은 짙은 그늘이며 명백한 과오"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민주노총도 "모든 것에 빛과 그림자가 있고 공과 과가 존재한다"며 "무노조 전략과 노조파괴를 일삼으며 수많은 노동자의 희생과 죽음 위에 오늘의 삼성을 세웠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삼성의 '무노조 경영 원칙' 폐기를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 "'무노조 경영'이라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하겠습니다. 노사관계 법령을 철저히 준수하고 노동 3권을 확실히 보장하겠습니다."<br /><br />대한민국을 이끈 경영계의 리더이면서도 노조를 인정하지 않았던 이건희 회장에 대한 평은 엇갈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팽재용입니다. (paengman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