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세 번째 아들로 그룹을 물려 받은 이건희 회장은 삼성을 세계적인 기업으로 키워냈습니다. <br><br>중요한 국면마다 어떻게 승부사 기질을 발휘했는지. 김철중 기자가 주요 장면을 돌아 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삼성그룹 부회장에 오른 건 지난 1979년. <br> <br>삼남인 이건희 회장이 첫째형 맹희, 둘째형 창희 씨를 제치고 삼성그룹의 후계자로 임명된 겁니다 <br> <br>45세의 나이로 회장에 취임한 뒤에는 곧바로 삼성 그룹의 체질 개선에 돌입합니다. <br> <br>[이건희 / 삼성전자 회장(1988년)] <br>"제2의 창업을 엄숙히 선언합니다. 그것은 삼성의 체질을 더욱 굳세게 다지어 세계 초일류기업으로 키워나가고…" <br> <br>당시 삼성은 미국, 일본 회사의 제품을 모방하기에 급급한 '추격자' 처지였습니다. <br> <br>삼성전자 공장에서 작업자가 불량 부품을 칼로 대충 깎아 완성품을 조립한다는 사실이 알려지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이건희 / 삼성전자 회장(독일 프랑크푸르트, 1993년 6월)] <br>"(회장이 되고) 만 5년 몇 개월간 계속 불량 안 된다 (얘기했는데…). 모든 것을 양을 지양하고 질을 향해라." <br> <br>이 회장은 삼성 임직원들을 향해 뼈를 깎는 변화를 주문합니다. <br> <br>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임직원을 상대로 한 '신경영 선언'은 <br> <br>국내 시장에 안주해 온 타성을 벗어 던지고 <br><br>세계 무대에서의 경쟁력을 길러야 한다는 절박함이 배경이 됐습니다. <br> <br>[이건희 / 삼성전자 회장(독일 프랑크푸르트, 1993년 6월)] <br>"바꾸려면 철저히 바꿔. 극단적으로 얘기해. 농담이 아니야. 마누라와 자식 빼놓고 다 바꿔봐." <br> <br>초일류 품질이라는 포기할 수 없는 목표를 위해 '휴대전화 화형식'이라는 충격요법도 마다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1995년 삼성전자 구미사업장에서 임직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불량 휴대전화 10만대 등을 불태우게 한 겁니다. <br> <br>최고가 아니면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메시지를 새기려는 의도였습니다. <br> <br>96년에 일찌감치 기업의 미래 경쟁력으로 디자인을 꼽고 마케킹과 브랜드 등 모든 분야에 걸쳐 디자인 혁명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2008년 삼성특검으로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가 2010년 복귀한 뒤에는 <br> <br>삼성의 미래를 구상하는 데 몰두했습니다. <br> <br>앞서가는 일본과 뒤쫓아오는 중국 틈에서 샌드위치가 될 수 있다는 위기 의식은 <br> <br>조직 전체에 끊임없는 혁신 요구로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[이건희 / 삼성전자 회장(2013년 5월) <br>"항상 위기의식을 가져야 한다. 거기서 더 열심히 뛰고 더 사물을 깊게 보고, 멀리 보고 연구해야 된다." <br> <br>혁신 없이는 도태되고 만다는 경영 철학과 <br> <br>위기 때면 어김없이 발휘된 이 회장의 '승부사 기질'이 <br> <br>오늘날 삼성을 세계 최고 기업의 반열에 올려놨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중입니다. <br>tnf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