6·25 신경전…뚜렷이 드러난 한미중 구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6·25 전쟁을 어떻게 규정할지를 놓고 국내외 공방이 이어지며, 한국이 처한 외교적 상황이 그대로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특히 미국과 중국의 신경전 속에서 한국의 곤혹스러운 입장이 재확인됐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0월 하순을 달군 6·25 전쟁 공방.<br /><br />BTS의 수상소감에 중국 일부 네티즌들이 반발하면서 지펴진 논쟁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연설로 정점을 찍었고 파장은 국내외로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시 주석이 6·25 전쟁을 '제국주의에 맞선 위대한 승리'라고 규정한 데 대해 미 정부는 '중국의 지원을 받은 남침'이라는 입장을 밝히며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그 사이 북한은 중공군 열사능원을 참배하며 중국에 밀착했고 정부는 6·25전쟁이 '남침'임을 재확인하면서도 톤을 낮췄습니다.<br /><br /> "중국에 대해서는 우리 입장을 분명히 전달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. (그 입장의) 발표에 있어서는 방식이나 소통 방법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이를 두고 외교가에서는 현재 관계국 구도를 그대로 드러낸 상징적 사건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심화하는 미중 갈등 속에서 북한은 균열 심화에 대비한 중국 '보험들기'에 나서고 정부는 미중 그 어느 쪽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부심하는 모양새라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일각에선 '한반도 평화 프로세스'의 진전을 위해 미중의 협력관계가 절실한 정부가 가장 곤혹스러운 입장이라고 평가합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미국은 중국 견제 차원의 인도·태평양 전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인도와는 연례 외교·국방장관 회의를 뉴델리에서 열며 협력 강화를 강화했고 일본과는 26일부터 연례 군사 연습에 돌입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