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 임대차법 시행과 저금리 장기화 등으로 전셋값이 계속해서 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물량 부족 탓에 가격이 오르다 보니 아예 '중저가 아파트를 사자'는 수요자가 늘면서 매매 시장도 자극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(지난 22일) : 과거 역대 10년 동안의 전세 대책을 다 검토해봤습니다. 말씀하신 대로 뾰족하게 단기 대책이 별로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최근 전세난에 대한 홍남기 부총리의 국회 답변입니다. <br /> <br />한마디로 전셋값을 잡을 뾰족한 대책이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무려 70주 연속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오르면서, 결국, 수도권마저 자극했고, 지방까지 확산하는 '풍선효과'를 낳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일주일 전보다 0.23%나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5년 만에 최대 상승입니다. <br /> <br />인천이 상승폭을 확대하면서 6년 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, 광명과 용인, 오산 등 경기도 주요 지역까지 가속도가 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 물량 부족은 중저가 단지 매매 시장도 자극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아파트값은 0.13% 상승한 가운데, 강북과 금천, 동작구 등이 상승 폭을 확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비규제지역인 김포시가 0.6% 가까이 뛰었고, 인접한 인천과 오산, 용인 등 수도권까지 폭을 키웠습니다. <br /> <br />오르는 전셋값을 감당하느니 차라리 자금을 더 끌어모아 사자는 심리가 작동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전세 거주 직장인 (음성변조) : 전세 계약이 끝날 때 집 주인이 실거주하겠다고 해서 다른 집을 알아보려고 하는데, 전세 가격이 너무 많이 올라서 대출을 더 받아서 경기도 쪽에 아예 매매를 생각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[윤지해 / 부동산114 수석연구원 : 중요한 점은 수도권에서의 입주 물량은 줄어드는 데 있는 것이죠. 그래서 단기간 내에 혹은 중장기적으로 봐도 지금의 전·월세난은 해소하기가 좀 어렵다, 좀 완화 시키는 방법을 찾는 수밖에 없는 거지 해소는 어렵다고 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까지 나서 전세 시장을 안정시키겠다고 천명한 만큼 조만간 추가 대책이 나올지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03100160266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