겨울 문턱에도 남북교류 '올스톱'…北국경 철통봉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남북 관계가 꽉 막히면서, 민간 차원의 남북 교류사업도 완전히 멈춰섰습니다.<br /><br />인도적 차원의 지원이 쏠리는 겨울을 앞두고 있지만, 단체들의 활동은 크게 위축된 상태인데요.<br /><br />북한이 국경을 걸어잠그고 '관망기'에 들어간만큼 당분간 이렇다할 변화를 만들기는 어려워 보입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통상 11월이 되면, 대북지원을 하는 민간단체들이 바빠집니다.<br /><br />방한용품 수요가 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올해는 상황이 다릅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코로나19 방역을 위해 국경을 걸어 잠근데다, 공무원 피격 사건까지 겹치며서 민간 교류도 멈춰서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통일부는 지난 9월 23일 의료물자 지원 사업 승인을 마지막으로 대북 물자 반출을 위한 추가 승인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이미 승인을 내준 단체들에게도 절차를 중단하라고 통보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북한도 경계를 풀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비상방역법을 제정하고, 외국인도 이 조치에 절대 복종하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국경과 바다에 불법으로 침입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같은 남북교류의 '혹한기'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가 여전히 기승인데다, 미국 대선이라는 큰 변수를 앞두고 북한이 관망기에 접어들었기 떄문입니다.<br /><br />또한 내년 1월 당대회를 앞둔 만큼, 그때까지는 북한이 주변 정세를 주시하며 내부 결속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고 정부는 분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단 통일부는 내년 봄에 대비해 최소한의 교류 재개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(북한은) 올해 코로나19 상황도 있고, 수재나 태풍 피해 이런 것이 있어 내년 봄을 지나면 조금 힘들 수도 있지 않을까 염려합니다. 그런 측면에서 인도적 협력을 할 부분이 있다면, 하는 것이 어떤가 생각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이 장관은 미 대선이 끝난 뒤인 오는 9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남북 교류 등에 대한 구상을 밝힐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