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앵커 : 검사들의 집단 반발 사태, 사회부 정현우 기자와 짚어봅니다. <br> <br>Q1. 주말이 분기점이라고 전해드렸었는데, 주말 이후 상황은 어떻습니까? <br> <br>최재만 춘천지검 검사가 "나도 커밍아웃하겠다"며 적은 글에 달린 동참 댓글은 오후 6시 현재 280개를 넘어섰습니다. <br> <br>주말에 잠시 숨을 고르는 듯하더니 업무를 재개하는 월요일이 되면서 다시 늘고 있는데요. <br> <br>전국 검사 2천2백여 명 중 내부망에 접속하기 어려운 휴직자나 파견자를 제외하면 2천여 명쯤 되거든요. <br> <br>15% 가까운 검사가 이른바 '커밍아웃'에 동참하며 추 장관에 맞서는 형국입니다. <br> <br>Q2. 그런데 이번에 댓글을 단 검사들 상당수가, 추미애 장관이 인사에서 우대하겠다고 한 검사들이라면서요. <br> <br>네,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취임 이후 특수부보다 형사부, 공판부 검사들을 인사에서 우대하겠다고 거듭 말해왔습니다. <br> <br>그동안은 권력형 비리나 대형 부패사건을 수사하는 특별수사부가 검찰 내부의 '엘리트 코스'였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추 장관은 일반 형사사건을 다루는 형사부, <br> <br>검찰이 수사를 마치고 기소한 사건을 재판 과정에서 챙기는 공판부 검사들을 우대해 왔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막상 장관이 우대한다고 해준 검사들이 오히려 추 장관에 맞서는 예상치 못한 상황이 벌어진 겁니다. <br> <br>Q3. 여당 지도부는 이 검사들을 검찰 개혁에 반대하는 검사들로 공격했는데요. 댓글을 단 검사들의 생각을 정 기자가 들어봤지요? <br> <br>댓글을 쓴 일부 검사들에게 직접 물어봤는데요. <br> <br>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검찰개혁 반대하는 것 아니라는 겁니다. <br> <br>커밍아웃에 동참한 검사들 면면을 봐도 특정한 성향이 있다기보다는 묵묵히 자기 할 일을 해왔던 검사들이 대다수인데요. <br> <br>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댓글을 쓴 건, 장관을 향해 다른 목소리를 냈다고 그 검사를 직접 겨눠 불이익을 주겠다는 듯한 태도는 납득할 수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추 장관의 검찰개혁이 실패했다고 직격탄을 날린 이환우 제주지검 검사에 대해 추 장관이 SNS로 공개 저격한 게 불을 붙인 셈입니다. <br> <br>Q4. 댓글을 단 검사들이요. 예전 평검사 회의같이 검란 수준까지 이 사안을 확대할 거다. 이런 생각까지 갖고 있던가요? <br> <br>검찰 내부망 게시글에 댓글을 다는 걸 넘어 평검사 회의 같은 조직적 움직임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아직까지 평검사 회의 개최를 주장하는 목소리까진 나오지 않고 있고요. <br> <br>상당수 검사들이 온라인 공간에서도 충분한 논의를 할 수 있는데, 굳이 옛 방식대로 대면회의를 여는 게 적절하냐는 목소리도 내고 있습니다. <br> <br>Q5. 아직은 댓글을 쓰지 않은 검사들이 다수인데요. 침묵하는 다수는 어떤 생각인가요? <br> <br>저희가 댓글 커밍아웃에 참여하지 않는 검사들의 목소리도 들어봤는데요. <br> <br>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. <br> <br>우선 '동의하지만 댓글은 안 썼다'는 검사들입니다. <br> <br>비슷한 생각을 가진 검사들이 이미 나섰는데 굳이 나까지 나설 필요를 못 느낀다는 검사들이 있었고요. <br> <br>실명으로 댓글을 달았을 때 좌천 인사 같은 불이익을 우려해서 동참을 꺼리는 검사도 일부 있었습니다. <br> <br>라임이나 옵티머스 관련 수사, 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감찰 상황 등을 일단 지켜보겠다며 입장 표명을 유보한 검사들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Q6. 그러잖아도 궁금했었는데요. 라임과 옵티머스 수사, 또 윤 총장 감찰은 어떻게 돌아가고 있습니까? <br> <br>결론부터 말씀드리면, 모두 속도는 다소 느리지만 계속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윤석열 총장의 봐주기 수사 의혹이나, 이른바 윤석열 사단 검사가 비위에 연루됐다는 의혹은 실체가 규명되진 않은 상황입니다. <br> <br>이 사건들의 수사 결과에 따라, 추미애 장관과 윤석열 총장, 둘 중 한 사람은 치명타가 불가피하다는 게 법조계 안팎의 관측입니다. <br> <br>앵커 : 여기까지 듣겠습니다. 사회부 정현우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