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I, 조류인플루엔자 의심 신고가 있었던 전북 고창군 육용 오리 농가는 최종 음성이 나왔지만, 당국이 방역의 고삐를 더욱 조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AI 전파의 주범인 철새들이 날아오고 있고 이미 야생조류 분변에서 고병원성 AI가 잇따라 검출된 만큼 AI가 언제 터질지 모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차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병아리들이 폐사해 조류인플루엔자, AI 의심 신고가 들어왔던 전라북도 고창군의 육용 오리 농가는 최종 음성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일단 한숨 돌렸지만 마냥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AI를 옮기는 주범인 겨울 철새 서식지에서 고병원성 AI가 두 차례 잇따라 검출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통상 AI 감염 경로가, 북방 겨울 철새가 국내 텃새들을 감염시키고 이로 인해 국내 농가 닭·오리들이 병에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긴장을 놓을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최근 경향을 보면 철새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이후 한 달도 채 안 돼 국내 닭·오리 농장에서 AI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[모인필 / 충북대학교 수의학과 교수 : 보통 야생철새에서 발견된 후에 한 달 후에는 가금 농장에서 양성이 나오고 또 한 달 후에는 농장 수평 전파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 많아요.] <br /> <br />게다가 11월은 철새가 본격적으로 다가오는 시기인 만큼 감염 위험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[김재홍 /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: 11월, 12월 1월까지는 굉장히 위험한 시기라고 봐야죠. 고병원성 AI가 나왔기 때문에 작년 발생과 비교해서 국가 방역을 최대한으로 해야죠.] <br /> <br />정부는 우선 철새도래지 전국 103개소 일대와 농장 주변을 매일 소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소독차와 방제기를 동원하고 차량 진입이 어려운 곳엔 방제 드론까지 투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AI에 걸려도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 오리에 대해서는 세심한 관찰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당국은 전국 오리 농장에 구체적인 AI 증상을 문자메시지로 발송해 안내하고 예찰 활동을 더욱 강화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YTN 차유정[chayj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10313141731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