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에 중고거래 사기 잇달아…피해 예방법은?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온라인 중고거래가 늘면서 관련 사기 범죄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피해를 막기 위해 무엇보다 이용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데요.<br /><br />곽준영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온라인 중고거래 장터입니다.<br /><br />사기 피해를 호소하고 예방법을 공유하는 글들이 넘쳐납니다.<br /><br /> "번개장터 번개페이 사이트를 똑같이 만들어서 사기 치는 분도 있고, 네이버 안전거래 사이트를 똑같이 만들어서 사기치시는 분들이 갑자기 늘어났어요. 지금."<br /><br />온라인 중고거래 피해사례는 작년 23만여 건.<br /><br />건수로는 2015년에 비해 2.7배, 금액으로는 2천억 원가량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피해자만 5천 명이 넘는 국내 최대 규모 온라인 사기단이 경찰에 붙잡히는 등 관련 수사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사기 판매자는 대부분 대포폰과 대포통장을 통해 거래하고 IP를 추적해도 중국 등 해외로 나와 여전히 단속이 쉽지 않은 상황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구매자가 의심스러운 거래에 응하지 않는 것이 현재로선 최선이라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사이트가 권장하는 공식 안전 거래 방식 대신 직접 계좌 입금을 유도한 거래는 피해야 합니다.<br /><br />판매자의 기존 거래 내역과 거래 후기도 살펴봐야 합니다.<br /><br />경찰청에서 제공하는 '사이버캅' 앱을 통해 판매자의 사기 신고접수 이력도 점검 사항입니다.<br /><br /> "인터넷 사기 등 민생 침해 범죄에 대해서 집중 단속을 계속 진행하고 있고, 다량의 피해가 발생한 범죄에 대해서도 신속히 검거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이미 사기를 당한 경우 즉각 경찰에 신고한 후 다른 피해자와 소통을 하며 같이 대응하는 방법도 범인 검거에 도움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곽준영입니다. (kwak_ka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