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2020 미국 대선 상황실

2020-11-04 3 Dailymotion

2020 미국 대선 상황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 미국에서는 차기 대통령이 탄생합니다.<br /><br />현재 동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투표가 끝나고 개표작업이 진행 중인데요.<br /><br />순차적으로 투표가 끝나는 지역이 늘어나면서 돌발상황이 없다면, 예년과 마찬가지로 오늘 오후에는 당선자 윤곽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가상 스튜디오 연결해 현재 개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네, 가상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이냐, 조 바이든 후보의 백악관 입성이냐를 결정할 본격적인 개표 드라마가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지금 한국시간은 오전 *시 **분입니다.<br /><br />미국 동부 시간을 기준으로 14시간의 시차가 있기 때문에, 미국은 지금 3일 오후 *시 **분을 막 지났을 텐데요.<br /><br />그럼 지금까지의 개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전국 득표상황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이 득표율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.<br /><br />바로 선거인단 확보 현황인데요.<br /><br />미 대선은 각 주에서 한 표라도 더 얻은 후보가, 해당 주 선거인단을 싹쓸이하는 '승자독식' 구조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대통령에 당선되기 위해선 전체 538명 중 매직넘버 270명 이상의 선거인단을 확보해야 하는데요.<br /><br />자 그렇다면 현재까지의 선거인단 확보 현황은 어떻게 될까요?<br /><br />그렇다면, 다음으로는, 두 후보가 모두 승리의 깃발을 꼽고 싶어하는 승부처, 경합주를 살펴보도록 하죠.<br /><br />이번 대선에서 경합주로 분류된 지역은 총 6곳인데요.<br /><br />먼저 46명의 선거인단이 걸려 있는 러스트벨트 3곳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러스트벨트는 제조업 비율이 높은 미국 북부 지역을 의미하는 곳으로, 보수층 백인 노동자가 많아서, 이른바 '블루칼라'를 잡기 위한 양 진영의 공약이 쏟아져 나오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펜실베이니아에서는 조금전인 10시에 투표가 마감이 돼서 개표절차가 진행중이고, 미시간과 위스콘신주는 아직 투표가 진행중인데요.<br /><br />다만 이들 러스트벨트에서는 앞선 여론조사에서 바이든 후보가 트럼프 대통령을 큰 격차로 앞서는 모습을 볼 수가 있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후보의 경우 6개 경합주를 빼고 지난 대선에서 힐러리 클린턴이 이긴 지역을 모두 승리한다고 했을 때, 232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게 되고, 여기에 러스트벨트를 석권하면 무난히 당선될 수 있는 만큼, 전략적으로 굉장히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동시에, 이 세 지역 모두, 지난 45대 대선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후보를 꺾고 승리를 차지한 지역이기도 해서, 결과를 유추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올해는 어떤 결과가 나올지 주목해서 지켜봐야겠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는 남부지역의 경합주로 가보겠습니다.<br /><br />55명의 선거인단이 걸려 있는 선벨트 3곳의 득표 상황을 함게 살펴볼 텐데요.<br /><br />애리조나의 투표 마감이 11시인 상황이라서, 플로리다와 노스캐롤라이나의 득표현황만 확인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화면으로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개표 초반인 만큼 판세는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는 점도 염두에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그렇다면 이 선벨트는 어떤 곳인지 좀 더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선벨트는 말 그대로 태양이 비치는 지대라는 뜻인데요.<br /><br />비백인 유권자층의 비율이 늘어나면서 경합주로 떠오른 곳으로, 대선 직전 여론조사에서는 두 후보가 오차 범위내에서 접전을 치른 곳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러스트 벨트와 마찬가지로 이곳 선벨트 3곳 역시, 2016년에는 세 곳 모두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를 차지한 곳이기도 한데요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 같은 경우 6개 경합주를 제외하고 지난 대선에서 이긴 지역을 모두 승리한다고 가정했을 때, 가져가게 되는 선거인단이 205명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선벨트를 모두 이겨도 260명밖에 되지 않는데요.<br /><br />따라서 선벨트 석권에 더해 러스트벨트 3개 주 중 최소한 한 곳에서 이겨야 재선에 성공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직전까지 경합주를 돌며 유세 강행군을 펼친 이유이기도 한데요.<br /><br />향후 흐름이 어떻게 진행될지 지켜봐 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자 그렇다면, 당초 대선이 시작됐을 때는 경합주가 아니었지만, 선거 종반으로 치달으며 격전지로 급부상한 지역들도 있는데요.<br /><br />화면으로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저희가 격전지로 뽑은 곳, 텍사스와 조지아 아이오와 오하이오 이렇게 총 4곳인데요.<br /><br />아직 텍사스와 아이오와에서는 투표가 진행중이기 때문에, 조지아와 오하이오의 개표 초반 상황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집계된 수치를 바탕으로는 -양상을 보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개표 초반인 만큼 관심을 가지고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격전지로 떠오른 이 네 곳, 모두 2016년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인단을 차지했던 지역들입니다.<br /><br />특히 텍사스는 전통적인 공화당의 텃밭이었지만 올해 바이든 후보가 여론조사에서 앞서며 선전한 곳인데요.<br /><br />무려 38명의 선거인단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이 지역의 민심이 어디로 향하는지도 계속해서 주목해서 보셔야겠습니다.<br /><br />오하이오 역시 눈여겨보셔야 할 지역입니다.<br /><br />대선풍향계로 불리기도 하는 곳인데요.<br /><br />1960년 이후 오하이오에서 지고도 대통령이 된 사람은 존 F.케네디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그런가하면 올해 대선의 변수로 떠오른 것. 바로 사전 투표입니다.<br /><br />사전 투표를 완료한 유권자가 1억명을 넘을 정도로 그 열기가 대단했는데요.<br /><br />이는 지난 2016년 대선 당시, 총 투표자 수의 약 72.8%에 해당하는 수치로, 올해 전체 유권자의 42%가 투표를 이미 마친 셈입니다.<br /><br />올해 대선, 사전투표와 현장투표까지 합치면 역대 최고의 투표율을 기록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문제는 주마다 사전투표의 개표방식이 제각각 다르기 때문에, 사전투표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느냐에 따라서 현장투표 결과를 뒤집을 수도 있는 대역전극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 지지층의 선호도가 높은 우편투표가 '사기투표'의 온상이라면서 대선 패배 시 소송 등을 통해 불복할 가능성을 시사해왔는데요.<br /><br />과연 누가 미국의 차기 대통령이 될까요?<br /><br />아직은 투표가 끝난 주가 많지 않아 승패를 쉽사리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새로운 소식..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