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주민이 그제 저녁 군 철책선을 뚫고 내려와 어제 우리 군이 14시간 만에 신병을 확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철저하다던 과학화 경계 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았는데, 2천억 원 넘는 예산을 들인 시스템이 고장이 잦아 보완책 마련이 시급합니다. <br /> <br />더 자세한 이야기, 이 사건 취재한 기자 통해 들어보겠습니다. 이승윤 기자! <br /> <br />먼저 이번 사건의 경위부터 살펴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군은 북한 남성이 지난 2일 밤 DMZ 내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2차례 TOD (열상감시장비)에 포착돼 수색 작전을 펼쳤으나 발견하지 못했고, 이 남성이 계속 남하해 그제 저녁 7시 25분쯤 강원 동부 지역 전방에서 철책선을 넘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군은 강원도 동부 전선에 대침투 경계 '진돗개'를 격상한 뒤 수색 작전을 벌여 GOP 남쪽 1.5km 민간인 통제선 안에서 신병을 확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군 당국은 민간인으로 확인된 이 남성이 귀순 의사를 밝혀 관계기관과 공동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지역은 과학화 경계 시스템을 갖춘 곳으로 '광망'이라고 불리는 철책의 센서가 작동하지 않아 군은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합동참모본부는 해당 부대의 작전상황과 감시장비 등을 조사하기 위해 전비태세검열단을 파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 부대는 이른바 노크 귀순이 있던 지난 2012년에도 사단장과 연대장 등이 줄줄이 보직 해임됐는데, 검열단 조사 결과에서 문제점이 식별되면 문책이 뒤따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문제는 철책 넘는 것을 보고도 신병을 바로 확보하지 못했고, 과학화 경계 시스템도 뚫렸다는 점이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 남성이 GOP 철책을 넘는 장면을 우리 군이 CCTV를 통해 봤지만 10여 시간이 지나 GOP 남쪽 1.5km 지점에서 신병을 확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군 당국은 해당 지역의 산세나 지형 때문에 감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고 해명했는데, 궁색한 해명이라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더 큰 문제는 초병의 경계임무를 보완하는 과학화 경계시스템의 고장이 심각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과학화 경계 시스템은 군이 장병 감소에 대비하고 대북 감시를 강화할 목적으로 지난해까지 2,427억 원을 들여 구축했는데요, <br /> <br />2016년 국방백서엔 적은 병력으로 넓은 지역을 효율적으로 감시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잦은 고장과 오작동으로 최전방 지역의 감시 공백을 유발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 문제를 지적했던 국회 국방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10513171030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