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 유력 속 혼탁한 美대선…산업별 기상도는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대선 결과에 산업계도 촉각을 세웠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의 불복 소송 등 변수가 남았지만, 바이든 민주당 후보의 승리가 유력해진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후보가 백악관의 새 주인이 되면 산업에 따라 파장이 다소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민주당 바이든 후보가 백악관의 새 주인이 되면 국내 신재생 에너지, 전기차 분야 기업에는 성장의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후보는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복귀하고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고 공약했습니다.<br /><br />대중교통수단과 정부 구입 차량을 100% 친환경차로 전환해 미국 전기차 판매가 급증할 전망으로 LG화학 등 배터리 기업과 현대차 등 전기차 관련 기업에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후보는 앞으로 4년간 2조 달러를 청정에너지 인프라 구축에 투입하겠다고 밝혀 무엇보다 태양광, 풍력 등 재생에너지 분야 기업에 호재입니다.<br /><br />트럼프 행정부가 '무역확장법 232조'를 부활시키고 고율의 관세를 예고했던 자동차와 반덤핑 관세로 불이익을 겪어왔던 철강 분야에선 수출 환경이 개선될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탄소 가격정책 도입 등으로 환경규제 등 비관세 장벽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법인세를 낮추겠다는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바이든 후보는 28%까지 올리겠다고 해 미국 현지 공장을 운영 중인 기업엔 부담입니다.<br /><br />삼성과 현대차, SK, LG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은 물류비와 과세 등을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 기간 현지 공장 증설에 나선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 "법인세 인상 정책으로 인해서 현지 진출한 기업들은 일부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. 태양광이나 수소 산업 같은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경우는 우리 기업에 긍정적으로…"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개표 불복 등 아직 변수가 남은 상황에서 어느 쪽이 당선되더라도 미·중 무역 갈등에 따른 불확실성은 상존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후보가 당선되면 보호무역주의 기조엔 다소 변화가 있겠지만, 큰 기조는 유지될 것으로 보여 우리 기업 대응이 더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