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 대선, 트럼프 대통령이 불복을 시사하며 혼란에 빠졌습니다. 트럼프가 받아들일 수 없다고 하는 <br>우편투표 제도, 외교안보국제부 김민지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먼저, 우편투표 제도가 주마다 제각각입니다. 그래서 도착을 받아주는 날짜도 다르고 개표율 집계도 더딘데, 우리처럼 하나의 선거제도로 통일할 수는 없나요? <br><br>사실상 어렵습니다. 미국이란 나라는 2백여 년 전 13개의 주가 연합한 연방제 국가로 출발했습니다. <br> <br>필요에 의해 연방 정부를 만들었지만 기본적으로 주정부의 자치권한이 더 큽니다. <br> <br>선거 관리나 개표, 우편 투표 절차나 기준 모두 50개 주가 각자 판단해서 정한 겁니다. <br> <br>[질문2] 트럼프 대통령은 우편투표에 사기가 있었다고 하는데, 일단 이번에 우편 투표가 워낙 많다보니 개표 과정에서 실수가 생길 확률은 높을 것 같아요? <br><br>이번 대선에서 우편 투표 참여자는 6천5백만 명으로 4년 전보다 두 배 이상 많습니다. <br> <br>절차는 사전투표를 할 유권자가 주소, 이름, 생년월일 넣어 신청한 뒤 정해진 우편함에 넣습니다. <br> <br>그다음 우체국이 회수해 해당 주 선관위에 배송하면 검수해 표에 반영하는 건데요. <br> <br>이 과정에서 어느 유권자가 1900년에 사망한 가족의 이름을 넣어도 우편 투표용지가 발생했다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고요. <br> <br>연방 우체국은 선관위에 우편 투표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일부를 분실하기도 했고 <br> <br>시간에 쫓겨 30만 표가량 전달을 인증하는 스캔을 빠트려 유권자들이 직접 추적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또 검수 과정 때 사람이 일일이 봉투를 뜯어 본인 여부 서명 대조를 하는데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은 이런 것들을 걸고넘어지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[질문3] 주마다 제도가 다 달라서 복잡한 것도 문제지만, 특정 정당에 유리한 선거제도를 자체적으로 만들 수도 있는 것 아닌가요? <br><br>물론 선거는 정당 성향과 상관없이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관리가 될 것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 출신 주지사들이 '기울어진 운동장'을 만들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현재 5곳 경합주 가운데 펜실베이니아, 네바다, 노스캐롤라이나 주지사가 민주당 소속인데요. <br> <br>공교롭게 우편접수 마감기한도 펜실베이니아는 6일까지 노스캐롤라이나는 12일까지 받아주고 있습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은 선거 전부터 이 부분을 눈여겨봤습니다.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지난 2일)] <br>“펜실베이니아 주지사, 정직하게 표를 계산하세요. 당신을 보고 있을 겁니다. (펜실베이니아) 주지사와 친구들, 그리고 다른 주지사들까지 다 지켜보고 있습니다.” <br> <br>[질문4] 어찌 됐든 트럼프 대통령은, 연방대법원까지 가겠다는 전략인데 현실적으로 가능합니까? <br><br>재검표 소송이나 개표 중단 소송 모두 타당한 근거가 있어야, 주 법원이 중단 명령을 내릴 수 있는데 <br>이미 기각돼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> <br>또 연방대법원이 6대3으로 보수성향이라곤 하지만 <br> <br>동성애 같은 문제와 달리 헌법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예컨대 선거 결과 무효 소송 같은 정치적 판결은 <br>내리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합니다. <br> <br>결국, 트럼프 대통령의 시간 끌기에도 12월 14일 전에 선거인단은 구성되고 투표도 이뤄질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김민지 기자<br>mettymo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