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뀌지 않는 '버스기사 교통사고 자부담' 관행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며칠 전 연합뉴스TV는 버스 회사의 채용 비리 의혹이 여전하다는 보도를 해드렸는데요.<br /><br />버스기사의 교통사고 자부담 문제도 오랫동안 지속돼 온 잘못된 관행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시의 지원금을 받기 위해 사고 이력을 숨기고픈 버스 회사와 사측의 불이익을 피하고픈 버스 기사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걸까요?<br /><br />박상률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 강북의 이 버스회사 기사는 약 200명.<br /><br />기사가 몰던 버스가 사고가 나면 회사 보험으로 처리하는게 원칙이지만, 보험 대신 자기 돈으로 해결하는 일이 부지기수입니다.<br /><br /> "본인들이 사고가 나면 본인들이 만근 깨지고 징계먹고 하니까 /(처리비용) 금액이 크잖아요? / 금액이 클 때는 큰 만큼의 징계가 오잖아요."<br /><br />사고발생시 기사들은 회사에서 무급 휴일의 징계를 받게 되는데, 이 경우 근무일수가 줄고 상여금에도 영향을 줘 수백만원의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본인이 사고 비용을 부담하고 징계를 피하는 게 나을 수 있는 겁니다.<br /><br />회사에서 아예 자부담을 종용한다는 주장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회사에서 유도를 하죠. '너 (사고비용) 얼마 나왔으니까 네가 자부담해라'. 기사들이 얼마를 번다고 자부담을 해가면서 하겠습니까."<br /><br />자부담을 하지 않으면 운행중인 버스를 갑자기 바꾸는 등 업무상 불이익을 주기 때문에 마지못해 자부담을 한다는 것.<br /><br />서울시는 버스회사의 순위를 매겨 수억원의 인센티브를 지급하는데 사고 이력이 많으면 인센티브가 지급되지 않기도 합니다.<br /><br />결국 회사 입장에선 기사가 자부담을 하는게 유리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 "절대 제가 자부담을 강요하지 않고, 본인들이 알아서 하는 것이지, 근데 이런 부분이 있어요. 회사에서 보험률이 올라가요. 또 서울시 평가에도 문제가 되고…"<br /><br />버스기사의 사고 자부담 문제는 오랫동안 고쳐야 할 관행으로 꼽혀왔지만 회사들은 '취업규칙에 나와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'는 말만 반복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. (srpar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