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닷새 만에 결국, 미 대선의 승자가 갈렸습니다. <br> <br>불복의 시사한 트럼프 대통령이 과연 백악관 열쇠를 넘겨줄지, 궁금한데요. 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민지 기자와 자세히 짚어봅니다. <br> <br>Q1) 최종 선거 집계는 시간이 더 걸리겠지만, 바이든 당선인이 결국 승리를 선언했죠? <br><br>네바다와 펜실베이니아까지 넘어오자 상황을 지켜보던 바이든 당선인이 개표 5일 만에 승리 연설을 한 건데요. <br> <br>바이든 당선인의 메시지는 확실했습니다. 빨강과 파랑, 공화당과 민주당으로 갈라진 미국을 통합하고 치유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당선인] <br>"우리가 될 수 있다고 믿는 나라, 하나 된 나라, 강화된 나라, 치유된 나라를 만들어 갑시다!" <br> <br>Q2) 어쨌든 승패는 갈렸는데, 트럼프 대통령 아직 별다른 반응이 없죠? <br><br>트럼프 대통령은 승복도, 그렇다고 불복도 하지 않고 백악관에서 침묵만 지키고 있습니다. <br> <br>4년 전과 비교해보면요. <br> <br>당시 트럼프 당선인은 개표 이튿날 승리 연설을 하고 바로 다음 날 오바마 대통령의 초청으로 백악관을 방문해 1시간 반 정도 얘기를 나눴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바이든 당선인의 승리 연설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꿈쩍도 하지 않은 채 이런 관례를 무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바이든 당선인을 백악관에 초청할 계획도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Q3) 그렇다면 바이든 당선인이 행정부 인수인계를 제대로 받을 수 있을까요? <br><br>바이든 당선인은 대선 후보로 나섰던 6월쯤 정권 인수위원회를 꾸렸고 며칠 전 홈페이지까지 개설했습니다. <br> <br>1963년 만들어진 대통령직 인수법에 따라 선거 다음 날부터 취임 후 60일까지 대통령과 부통령 당선인은 인적·물적 지원을 받게 됩니다.<br> <br>하지만 최종 선거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아 연방조달청으로부터 사무실과 장비, 자금 지원을 제대로 받기까지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> <br>이 시간이 길어지면 트럼프 행정부 인수인계는 물론 장관 등 내각 구성, 차기 행정부 인사 검증까지 <br>줄줄이 차질을 빚을까 우려됩니다.<br> <br>실제로 2000년 대선 당시 앨 고어 전 부통령과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선거를 예로 들어보면요. <br><br>플로리다 재검표 문제로 당선인 확정이 늦어지면서 부시 행정부 안보팀 구성이 지연됐고 2001년 벌어진 9·11 테러 대응에도 영향을 미친 바 있습니다. <br> <br>Q4) 트럼프 대통령이 마지막까지 백악관에서 버티는 이유가 꼭 선거에서 졌기 때문은 아닐 수 있다고요? <br><br>트럼프 대통령, 본인 스스로 세금 탈루 등 여러 소송에 시달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동안은 현직 대통령이란 방패막이, 면책특권이 있었지만요. <br> <br>이마저도 잃으면 끝을 볼 수 있다는 거죠. <br> <br>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바이든 당선인은 트럼프 대통령을 어떻게든 백악관에서 나오게 하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왔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당선인 (지난 6월)] <br>"약속합니다. 그런(불복하는) 상황이 온다면, 군대가 트럼프 대통령을 백악관에서 내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.“ <br> <br>어쨌든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대법원 결정이 나올 때까지 최대한 버틸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네, 그렇군요. 사실상 불복 선언을 한 트럼프 대통령이 어떻게 나올지 더 지켜봐야 할 거 같습니다. <br> <br>김민지 기자<br>mettymom@donga.com